![]() |
지난해 순자산 상위 1% 가구의 기준은 32억8천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가구의 자산 중 80% 이상은 부동산이었으며, 주식 등 직접 투자 비율이 전체 가구 평균의 2배를 넘었다.
15일 통계청의 2022년 가계금융복지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 기준 상위 1% 가구의 기준선은 32억7천920만원이었다. 표본 가구를 순자산 상위 순으로 나열한 뒤, 각 가구의 가중치를 고려해 상위 1%에 해당하는 가구의 순자산을 산출한 결과다. 2021년(29억원)과 비교하면 순자산 상위 1%의 기준선은 3억7천920만원 올라갔다.
지난해 상위 1% 안에 든 가구의 평균 자산은 53억6천882만원이었다.
이 중 부동산 자산은 43억7천249만원으로, 전체 자산의 81.4%에 해당했다. 전체 가구의 평균 부동산 자산 비중(73.7%)보다 높은 수치였다.
금융 자산은 9억91만원으로 16.8%를 차지했으며, 금융자산의 84.8%는 저축액(7억6천376만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상위 1% 가구의 부채는 평균 5억1천666만원이었다.
여유자금 운용 방법으론 상위 1% 가구의 60.3%가 저축과 금융자산을 손꼽았다. 전체 가구 평균(47.9%)보다 높은 비율이었다.
금융자산 투자 시 선호하는 운용 방법은 은행 예금(45.8%), 주식 등 직접투자(26.5%) 순으로 높았다.
여유자금을 부동산에 투자할 의사가 있는 가구는 상위 1% 가운데 38.4%에 그쳐, 의사가 없는 가구(61.6%)가 더 많았다. 전체 가구 중에서는 부동산 투자 의사가 있는 가구가 58.0%, 의사가 없는 가구가 42.0%였다.
부동산 투자 의사가 있는 상위 1%가 선호하는 부동산 유형은 아파트(51.8%), 상가·오피스텔 등 건물(29.9%) 순으로 높았다. 전체 가구보다 아파트 비율은 10.8%포인트 낮고 건물은 14.1%포인트 더 높았다.
상위 1% 안에 드는 가구의 소득은 평균 연 2억1천632만원으로, 전체 가구 평균 소득(6천414만원)의 3.4배 수준이었다.
근로소득이 9천328만원, 사업소득이 3천985만원, 재산소득이 7천247만원이었다.
사업소득은 사업체를 운영하면서 얻는 순수입을, 재산소득은 임대·이자·배당 등으로부터 얻는 소득을 각각 말한다.
상위 1%의 근로소득은 전체 가구(4천125만원)의 2.3배, 사업소득은 전체 가구(1천160만원)의 3.4배, 재산소득은 전체 가구(426만원)의 무려 17배였다.
박주희기자 jh@yeongnam.com

박주희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