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학생·교사 딥페이크 피해신고 434건…공론화 후 큰 증가

  • 노진실
  • |
  • 입력 2024-09-09 13:47  |  수정 2024-09-09 13:47  |  발행일 2024-09-09
학생 등 딥페이크 피해자는 총 617명
"열흘 만에 피해 신고 크게 늘어"
올해 학생·교사 딥페이크 피해신고 434건…공론화 후 큰 증가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최근 교육 현장의 '딥페이크(Deep fake·AI로 만든 영상, 이미지, 음성 조작물) 범죄' 관련 피해 신고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는 17개 시도교육청을 통해 파악한 결과 올해 1월부터 지난 6일까지 학생·교원 딥페이크 피해 신고 건수가 총 434건으로 집계됐다고 9일 밝혔다.

앞서 지난달 27일 기준 교육부의 1차 조사에서는 딥페이크 피해 신고 건수가 196건이었는데, 열흘 만에 진행된 2차 조사에서 그보다 더 많은 238건이 추가됐다.

학교급별로는 고등학교가 243건으로 가장 많았고, 중학교 179건, 초등학교 12건 순이었다.

고등학교의 경우 1차 조사 당시 79건으로, 중학교(109건)보다 피해 건수가 적었다가 2차 조사에서는 크게 늘었다.

피해 건수 가운데 350건은 수사 의뢰된 상태로, 수사 의뢰 건수 역시 1차 조사(179건)의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딥페이크 피해자는 총 617명이다.

학생이 588명, 교사 27명, 직원 등 2명으로 집계됐다.

교육부는 2차 조사에서 피해 건수가 증가한 이유에 대해 "최근 언론보도 이후 학교 현장에서 신속하게 피해 신고·지원에 대한 안내가 이뤄졌고, 피해영상물 삭제 지원을 받기 위해 신고 필요성을 느낀 피해자의 인식 변화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2차 조사에서 새롭게 추가된 지표인 '삭제 지원 연계' 건수는 184건으로 나타났다.

한편, 불특정 인물의 얼굴과 신체 사진을 합성하는 일명 '딥페이크' 사진 등이 텔레그램 단체대화방에서 공유됐다는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그 여파가 지역 교육계에도 미치고 있다.

이른바 '딥페이크 피해 대구경북 학교' 명단이 온라인 상에 게재되면서, 교육 당국과 경찰이 사실관계 파악에 나섰다. 교육 현장의 딥페이크 피해 가능성이 공론화되면서 최근 대구에서도 관련 피해 신고가 본격화됐다.

노진실기자 know@yeongnam.com

기자 이미지

노진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