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무직은 중앙행정기관·지방자치단체·각급 학교·공공기관 등에서 일하는 민간 근로자다. 주민센터와 민원창구 등에서 업무를 수행하지만, 공무원 신분은 아니고 근로기준법 적용을 받는다.
16일 한국행정연구원이 발간한 학술지 '한국 광역지방자치단체 공무직 임금의 결정요인 연구'에 따르면, 2022년 기준 17개 시·도 중 대구 공무직 평균 연봉은 4천178만원이었다. 전남(4천916만원), 서울(4천379만원), 충북(4천334만원)에 이어 네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반면, 경북은 3천595만원으로 16위에 머물렀다. 가장 낮았던 곳은 경기로 3천531만 원이다.
대구는 전국 평균 3천942만 원과 비교해 236만원 더 많았고, 경북은 347만원 적었다.
연차별로는 대구의 1년차 공무직 노동자가 3천402만원, 15년차 4천176만원, 30년차 4천819만원이었다. 경북은 1년차 3천138만원, 15년차 3천560만원, 30년차 4천91만원으로 나타났다. 1년차 연봉만 본다면 대구가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공무직 정원에서도 대구는 상위권에 속했다.
대구 공무직 정원은 총 948명으로, 전국에서 5번째로 많았다. 경북은 598명이었다.
가장 많은 곳은 제주(2천942명)였다. 이어 서울(2천185명), 경기(1천359명), 부산(1천305명) 등 순이었다. 가장 적은 지역은 울산(338명)이었다.
이번 연구 논문을 집필한 서인석 안양대 행정학과 교수는 "광역 지자체 간 공무직 정원과 연봉 차이가 상당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이는 각 시·도의 여건을 함께 논의해야 적정한 임금 수준을 확인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면서 "공무직의 임금 수준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정치·지역적 맥락이 모두 고려돼야 할 필요가 있고 결국 지자체와 행정 기관의 공무직 규모, 재정 상황에 따라 적합한 제도적·정책적 방안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김종윤기자 bell08@yeongnam.com

김종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