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결과 아주 좋아…韓美 국익중심 실용동맹 새 지평”

  • 서민지
  • |
  • 입력 2025-08-26 10:21  |  발행일 2025-08-26
李, 트럼프에 “한반도 평화 새 길 열어달라”
“트럼프는 피스메이커, 저는 페이커메이커”
李, 연설서 “참모 우려했지만, 그러지 않을 것 확신”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첫 정상회담에 나선 이재명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한반도 평화의 새 길을 열어달라"며 적극적인 역할을 요청했다. 이 대통령은 특히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회담을 제안하며 남북 관계 개선의 '핵심 열쇠'로 트럼프 대통령을 지목했다.


25일(현지시간)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열린 한미정상회담에서 이 대통령은 "세계 지도자 중 전 세계의 평화 문제에 대통령님처럼 이렇게 관심을 가지고 실제 성과를 낸 건 처음"이라며 "전 세계 유일하게 분단국가로 남아 있는 한반도에도 평화를 만들어달라"고 했다. 이어 "김정은도 만나시고, 북한에 트럼프 월드도 지어서 거기서 골프도 칠 수 있게 해달라"며 "세계사적 '평화의 메이커' 역할을 해주시길 기대한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의 1기 임기 중 한반도 정세가 안정적이었다는 점을 언급하며, "대통령께서 미국 정치에서 잠깐 물러선 사이 북한이 미사일도 많이 개발했고 핵폭탄도 많이 늘어났다. 진척된 것 없이 한반도 상황이 정말 많이 나빠졌다"고 지적했다.


또, "얼마 전 김여정이 미국과 저를 비난하면서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의 특별한 관계는 의심하지 않는다고 했다"며 "기다리고 있다는 뜻으로 읽힌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저의 관여로 남북관계가 잘 개선되긴 쉽지 않다"며 "이 문제를 풀 수 있는 유일한 인물은 트럼프 대통령"이라고 치켜세웠다. 그러면서 "대통령께서 '피스메이커'를 하시면 저는 '페이스메이커'로 열심히 지원하겠다"고 밝혀 트럼프 대통령의 호응을 이끌어냈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김정은 위원장과의 정상회담 추진에 적극적인 의지를 밝혔다. 그는 이 대통령의 언급에 "매우 좋은 일이라고 생각한다"며 "당신은 내가 함께 일해 온 한국의 다른 지도자들보다 그것을 하려는 성향이 훨씬 더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국제전략문제연구소(CSIS)에서 정책 연설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국제전략문제연구소(CSIS)에서 정책 연설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오는 10월 말 경주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 참석 여부에 대한 질문을 받자 "난 갈 수 있다고 본다"고 답했다. 이어 "난 무역 회의를 위해 곧 한국에 가는 것 같다. 한국이 회의를 주재한다"고 부연했다.


APEC 정상회의가 다자 경제 협력을 논의하는 성격인 점을 고려할 때,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무역 회의는 APEC 회의로 해석된다.


이 대통령은 같은 날 오후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초청 강연 직후 대담에서, 참모들이 정상회담에서 부정적인 상황이 발생하리라 우려했지만, "저는 이미 그러지 않을 거라고 확신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저서 '거래의 기술'을 읽었다"며 "상대가 감내하기 어려운 조건을 던지지만, 최종적으로 불합리한 결론에 이르게 하진 않는다는 것을 이미 써놓았다"고 했다. 이어 "결과는 아주 좋았다"며 "우리가 기대했던 것보다 훨씬 많은 것들에 대해 대화하고, 양해하고, 격려받았다. 예정된 시간보다 많은 시간을 대화했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정상회담에서 한미동맹을 안보환경 변화에 발맞춰 현대화 해나가자는 데 뜻을 같이 했다고도 밝혔다. 이 대통령은 "저와 트럼프 대통령은 '국익중심 실용동맹'의 새 지평을 열어가고자 한다"며 "한국은 한반도의 안보를 지키는 데 있어 더욱 주도적인 역할을 해 나갈 것이고, 미국의 대한(對韓) 방위 공약과 한미 연합 방위 태세는 철통같이 유지될 것"이라고 단언했다. 국방비를 증액하겠다고도 밝혔다.



기자 이미지

서민지

디지털콘텐츠팀 서민지 기자입니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정치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