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조종수 대구시 신청사 국제설계공모 심사위원장

  • 최시웅
  • |
  • 입력 2025-09-17 18:10  |  발행일 2025-09-17
조종수 건국대 건축설계과 교수

조종수 건국대 건축설계과 교수

17일 당선작 발표로 대구시 신청사 국제설계공모 절차는 모두 끝났다. '대구 미래를 담아낼 새 행정 공간'의 형태, 구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단계였다. 이 절차를 모두 관장한 심사위원장조종수 교수(59·건국대 건축설계과)를 만나 2030년 준공 예정인 대구시 신청사가 어떤 공간으로 기능할 지를 물어봤다.


▶대구시 신청사 국제설계공모 총평을 한다면.


"심사에 앞서 대구시 신청사는 대구시민을 위해 흩어진 행정을 한 곳에 집적하고, 양질의 행정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공간이어야 함을 분명히 했다. 출품작(14개) 모두 뛰어났다. 이 중 접근성·효율성·활용성·미래지향적 랜드마크 등 4가지 기준에서 좋은 평가를 받은 5개 작품이 결선에 올랐다."


▶신청사 건립지가 '시민이 선택한 공간'이란 점에 큰 의미를 부여했는데.


"그렇다. 한 지역의 주민이 함께 참여하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공공성'이지 않겠나. 시민이 직접 신청사 부지를 선택했다는 점 그 자체로 굉장히 큰 의미를 갖는다. 장소적 특성도 있지만, 이를 시민과 함께 공유하고, 함께 만들어갈 수 있다는 측면에서 매우 특별하게 다가왔다."


▶당선작에 대해 평을 한다면.


"당선작의 경우 행정 공간과 시민이 이용하는 공간이 합리적으로 나뉘어 공공성, 효율성을 함께 갖고 있단 점에서 인정을 받았다. 더욱이 두류공원 등 인근 자연공간으로 연결되는 통로를 시각적으로만 여는 게 아니라 완전히 끌어안았다. 마치 공원 안에 시청사가 자리잡은 느낌을 줬다. 시민과 유기적으로 연결된 형상이라고 할 수 있다."


▶향후 설계 구현과정에서 대구시, 시민의 역할이 있다면.


"시민이 의견을 내고, 또 이를 반영하는 '참여형 시청 건립'이 필요하다. 다만, 전문가들을 중심으로한 위원회가 시민 목소리를 어떻게 반영할지 조율해야 한다. 대구시는 '시민 중심'이란 전체적 맥을 유지하도록 무게중심을 확실히 잡아야 한다."



기자 이미지

최시웅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