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릉공항 조감도<울릉군 제공>
울릉공항 건설이 여객 수요 과다 산정, 활주로 안전성 부족, 수익성 보완 대책 부재 등 총체적 문제를 안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감사원이 최근 발표한 '지방공항 건설사업 추진실태' 감사 결과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울릉공항 수요 예측 과정에서 항공에 유리한 시나리오만 반영해 여객 수요를 과대 산정했다. 해양수산부 전망과 비교할 때 2040년 기준 약 9만 명이 부풀려진 것으로 나타났다.
당초 50석급 항공기를 기준으로 1천200m 활주로를 설계했음에도, 이후 80석급 항공기 취항을 전제로 등급을 상향하면서 활주로 연장은 이뤄지지 않았다. 감사원이 조종사 2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70%는 "악천후 시 운항이 부담된다"고 답했고, 95%는 활주로 연장의 필요성을 지적했다.
수익성 문제도 심각하다. 80석 항공기는 최소 72명 이상 탑승해야 손익분기점에 도달하지만, 안전 문제로 승객·화물 탑재 제한이 불가피하다. 그럼에도 국토부는 소형항공운송사업자의 수익성 보완 대책을 마련하지 않아 개항 이후 공항이 사실상 유휴화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다.
시공 관리 부실도 도마 위에 올랐다. 울릉공항 케이슨 공사 과정에서 시공사가 설계도와 다르게 시공했음에도 감독기관이 이를 방치했고, 자격 미달의 현장 대리인을 배치하는 등 기본적인 관리·감독도 소홀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울릉공항 활주로연장 추진위원회는 주민 입장을 담은 성명을 통해 "감사원이 드러낸 문제는 단순한 수치가 아니라 국민의 생명과 직결된 사안"이라고 했다. 이어 "울릉도는 연간 138일 강풍, 144일 강수라는 혹독한 기후를 가진 지역으로 1천200m 활주로로는 안전한 착륙 여건을 보장할 수 없다"며 "1천500m 이상 활주로 연장은 국민 안전권 보장을 위한 최소한의 장치"라고 강조했다.
주민들은 정부의 책임 있는 태도도 촉구했다. 위원회는 "울릉공항은 이미 국책사업으로 확정돼 수년간 추진돼 왔는데, 정부는 감사원의 지적을 '활주로 연장 근거'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감사원은 국토부에 여객 수요 재산정과 활주로 연장 검토, 소형항공운송사업자의 최소 수익성 보장 방안 마련 등을 통보하며 개선을 촉구했다.
김기태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