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
포스코그룹 장인화 회장이 한·미 양국의 경제협력과 우호 증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25 밴플리트상(General James A. Van Fleet Award)'을 수상했다. 이 상은 한·미 관계의 발전에 기여한 인물에게 수여되는 최고 권위의 민간상으로 장 회장의 글로벌 리더십이 국제무대에서 공식적으로 평가받은 셈이다.
24일 포스코그룹에 따르면 지난 2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코리아소사이어티 연례 만찬에서 캐슬린 스티븐스 이사장은 "장인화 회장이 미국 산업 생태계의 회복과 공급망 강화에 기여하며 양국 유대 심화에 큰 공헌을 했다"고 수상 이유를 밝혔다. 밴플리트상은 한국전쟁 당시 '한국군의 아버지'로 불린 제임스 밴플리트 장군을 기리기 위해 1992년 제정된 상으로, 역대 수상자에는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 김대중 전 대통령, BTS 등이 있다.
장 회장은 수락 연설에서 "한·미 동맹의 가치를 높여온 코리아소사이어티로부터 상을 받게 돼 매우 영광"이라며 "미국은 포스코그룹 성장의 출발을 함께한 가장 굳건한 파트너"라고 말했다. 그는 포항제철소 설립 당시 미국 철강 산업이 영감을 주었고, 1972년 첫 대미 수출은 포스코의 세계 진출의 관문이었으며, 1994년 뉴욕증권거래소 상장은 포스코그룹 성장의 이정표였다고 회고했다.
그는 이어 "포스코그룹은 철강을 넘어 2차전지소재, 에너지 등 미래 산업에서도 미국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며 "AI 기반 인텔리전트 팩토리 등 혁신 산업에서 미국 제조업의 새로운 르네상스를 함께 열어가겠다"고 밝혔다.
장 회장 취임 이후 포스코그룹은 대미 투자 확대 전략을 본격화하고 있다. 올해 4월에는 현대자동차그룹과 루이지애나주 제철소 합작 투자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으며, 유타주에서는 국내 최초로 리튬직접추출(DLE) 기술 실증사업을 추진 중이다. 또 북미산 LNG 장기 구매 계약을 맺어 에너지 안보와 공급망 안정화에 힘을 보태고 있다.
이번 수상은 포스코그룹의 '글로벌 친환경 소재 대표기업' 도약이 단순한 산업 전략을 넘어, 한·미 경제 동반성장의 모델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장 회장은 "미국의 영원한(Life-long) 파트너로서 미래를 향한 여정을 함께하겠다"며 한·미 산업 협력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했다.
김기태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TK큐] 장애인 이동권 경계를 허물다, 스웨덴 휠체어 장애인의 하루](https://www.yeongnam.com/mnt/file_m/202510/news-m.v1.20251022.9c488fa6cf5240fba9110365d87324a3_P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