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오전 전남 신안군 장상면 인근 족도(무인도) 해상에서 퀸제누비아2호가 이초돼 있다. 퀸제누비아2호는 전날 족도에 좌초됐다가 신고 접수 6시간 만에 선사의 예인선으로 섬을 벗어났다. 승객 246명·승무원 21명 등 267명 전원 무사 구조됐으나 좌초 충격으로 일부가 경미한 통증을 호소해 병원으로 옮겨졌다. / 사진= 연합뉴스
전남 신안 해상에서 260여 명을 태운 대형 여객선이 좌초됐다가 3시간 10분 만에 승객 전원이 구조됐다. 해당 사고는 항해사가 휴대전화를 보는 등 딴짓을 하다가 발생한 것으로 해경 초기 수사에서 확인됐다.
20일 수사당국에 따르면, 전날 목포해경은 오후 8시 17분쯤 신안군 장산도 남방 족도 인근에서 퀸제누비아2호 좌초 신고를 접수하고 즉시 구조에 나섰다. 당시 제주에서 목포로 향하던 이 선박에는 승객 246명과 승무원 21명 등 267명이 타고 있었으며, 선체는 족도 지형 위로 절반가량 올라선 상태였다.
선수 부분에 균열이 생겼다는 초기 전달도 있었지만 침수는 확인되지 않았다. 일부 승객은 "쾅 소리가 난 뒤 배가 기울었다", "모든 승객은 구명조끼 착용하라는 안내방송이 나와 조끼 입고 맨 위에 올라와 있다"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려 당시 상황을 전했다.
해경은 경비정과 연안 구조정을 투입해 구조 작업을 진행했다. 오후 11시 27분까지 승객 전원을 함정으로 옮겼고, 이송된 인원은 목포해경 전용부두로 이동했다. 첫 이송자는 밤 11시 10분에 도착했고 마지막 승객은 이날 0시 40분쯤 부두에 도착했다. 구조에는 경비함정 17척, 연안 구조정 4척, 항공기 1대, 서해 특수구조대가 동원됐다.
승객들은 모두 구명조끼를 착용한 채 대기했으며, 어린이·임신부·노약자가 우선적으로 이동했다. 승객 이동은 사다리 대신 여객선 후미의 차량용 램프를 경비정과 연결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20일 새벽 전남 목포시 목포해양경찰서 전용 부두로 여객선 퀸제누비아2호 탑승객들이 구조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수사 당국은 선박 조종을 담당한 일등항해사 A씨가 수동으로 운항해야 하는 구간에서 휴대전화를 들여다본 탓에 변침 시점을 놓친 것으로 보고 있다. 이로 인해 선체가 무인도인 족도 방향으로 밀려 들어가 절반가량이 걸터앉는 사고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해경은 A씨와 조타수를 긴급체포한 상태다.
박지현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