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오전 10시 30분쯤 대구 달서구청 4층 대회의실에서 이태훈 달서구청이 기자 설명회를 열고 '대구 서부권 통합 국가정원안'을 제시하고 있다. 구경모기자
달성습지에 조성되고 있는 '에코전망대' 조감도. 달서구청 제공
국가정원 지정 절차. 달서구청 제공
대구 달서구청이 달성습지·하빈유원지·대명유수지 등 낙동강과 금호강 일대를 아우르는 생태시설들을 '국가정원'으로 묶는 대형 프로젝트를 대구시에 제안했다.
이태훈 달서구청장은 24일 오전 청사 대회의실에서 기자설명회를 열고 "달성습지 일원을 국가정원으로 지정해 대구 서부권을 생태·휴식·관광 복합공간으로 발전시킬 계획안을 대구시에 건의하겠다"고 밝혔다.
국가정원 지정 건의 대상지는 △달성습지(대구 달서구 대천동·호림동, 달성군 화원읍·다사읍, 경북 고령군 다산면) △화원유원지(대구 달성군 화원읍 성산리) △대명유수지(대구 달서구 대천동) 등이다. 이 곳들은 낙동강과 금호강 합류부를 중심으로 한 수변 지대다. 총 부지 규모는 248만㎡다.
달서구청이 제시한 '대구 서부권 통합 국가정원(안)'의 핵심 구상은 △에코전망대 △디아크~달성습지 보행교 연결 △하빈유원지 자연형 정원화 △대명유수지 생태경관 특화 등이다.
이 구청장은 "국가정원 지정은 단일 공원 조성사업이 아니라 대구 서부권 전체의 공간 구조를 바꾸는 장기 전략이다. 기후위기 대응, 생태·문화 자원 연계, 관광 수요 창출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며 "국가정원 지정 시 연간 수백만 명의 관광객 유입과 함께, 운영비·관리비 등 국비 지원을 통해 지역 재정 부담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국가정원 지정까지 넘어야 할 산이 적잖다. '수목원·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을 보면, 국가정원 지정은 시·도지사가 산림청에 신청해야 한다. 그 이전에 지방정원으로 먼저 등록한 뒤 최소 3년 이상 운영 실적을 평가받아야 한다.
또 달성습지·화원유원지·대명유수지 구간은 달서구뿐 아니라 대구 달성군, 경북 고령군 등 여러 지자체 간 행정구역이 얽혀 있어 협의와 역할 조정도 필요하다. 실제 달성습지는 각 지자체 간 보전·이용 방식과 명칭 문제를 두고 이견이 엇갈린 바 있다.
이에 대해 달서구청 측은 "습지 보전 등 기존 협력 경험이 있어 조율은 가능하다"며 "대구시와 함께 추진하는 방향이 현실적이다"고 설명했다.
구경모(대구)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TK큐] 독일 프랑크푸르트의 장애인 이동권은 어디까지 왔나](https://www.yeongnam.com/mnt/file_m/202511/news-m.v1.20251128.d24ad28e5cae4d2788a23ae2d86f4b82_P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