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공업고 전경 <대구시교육청 제공>
이사장의 비리와 갑질로 장기간 혼란을 겪어온 영남공업고등학교(영남공고) 학교법인이 5년 만에 정이사 체제로 전환된다. 임시이사 체제가 사실상 마무리 국면에 접어들며, 학교 운영 정상화가 본격 궤도에 오르게 됐다.
대구시교육청에 따르면, 교육부 산하 사학분쟁조정위원회(사분위)는 25일 회의에서 영남공고를 운영하는 학교법인 '영남공업교육학원' 정이사 후보 18명 중 8명을 최종 선임했다. 신원조회 절차를 마친 뒤 이르면 다음 달 중순부터 정식 이사 업무를 시작하게 된다. 이사회 구성이 완료되는 즉시 임시이사 체제는 종료된다.
정상화 작업은 지난해 말부터 속도를 냈다. 사분위는 지난해 12월, 2026년 1월까지 정이사 체제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의결했고, 학교법인과 대구시교육청은 올해 8월 구성원 의견을 반영한 정상화 추진안을 제출하며 본격적인 절차에 들어갔다.
영남공고 사태의 출발점은 2020년 1월이다. 당시 이사장은 교원 채용 과정에서 금품을 수수하고, 교직원에게 부당한 지시를 내리는 등 권한을 사적으로 남용했다. 노래방 참석 강요 등 비위 사실도 드러났으며, 일부 혐의는 법원에서 인정돼 징역 8개월과 추징금 3천500만원이 선고됐다. 사분위는 이사장을 포함해 이사진 8명을 전원 해임하고 외부 전문가 중심의 임시이사를 파견했다.
이후 대구시교육청과 임시이사진은 수년간 부조리 해소, 인사 투명성 확보, 교육환경 개선 등을 추진하며 조직 전반을 재정비했다. 학교장·행정실장 파견을 통해 공공성과 전문성도 강화했다. 그 과정에서 영남공고는 올해 대구 최초·유일 협약형 특성화고로 선정되는 성과를 얻기도 했다.
강은희 대구시교육감은 "정이사 체제 전환은 정상화의 완결이 아니라 새로운 출발"이라며 "법인의 변화가 학교 현장의 신뢰 회복으로 이어지도록 지도·감독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김종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TK큐] 독일 프랑크푸르트의 장애인 이동권은 어디까지 왔나](https://www.yeongnam.com/mnt/file_m/202511/news-m.v1.20251128.d24ad28e5cae4d2788a23ae2d86f4b82_P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