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용산 이태원 참사 진상 규명과 재발 방지를 위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에서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의 1차 기관보고를 이태원참사 유가족이 지켜보고 있다. 연합뉴스 |
국회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특별위원회'가 27일 국회에서 대통령실 국정상황실, 국가안보실 위기관리센터, 행정안전부, 경찰청, 소방청, 서울경찰청, 용산경찰서 등을 대상으로 첫 기관 보고를 진행했다. 이날 여야는 참사 당시 컨트롤 타워가 어디인지를 두고 공방을 벌였다.
이날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은 재난 발생 시 이들 기관을 통할해 대응해야 하는 컨트롤 타워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는 점을 집중적으로 추궁했다.
더불어민주당 윤건영 의원은 "(참사 당일) 오후 10시 15분에 참사가 발생했는데, 대통령은 (참사 후) 48분, 행안부 장관은 65분, 국무총리는 87분 만에 보고를 받는다"며 "참사 당시 컨트롤 타워의 대응은 총체적인 실패"라고 주장했다.
또 윤 의원은 재난 관련 대통령실 업무를 묻는 질의에 국가위기관리센터가 서면으로 '재난 관련 대통령실 업무는 국가안보실 소관 업무가 아니다'라고 답변한 것을 두고 문제를 제기하기도 했다.
이에 김상호 위기관리센터 부센터장은 "24시간 동안 위기를 모니터링하고, 재난 상황이 발생하면 국정상황실로 전파해 그 전문성을 갖춘 비서실에서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는 뜻"이라고 해명했다.
국민의힘은 이태원 참사 최종 책임은 윤석열 대통령에게 있다는 야당의 공세를 저지하며 참사 당시 정부의 대응에는 큰 문제가 없었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 박형수 의원은 "재난의 수습, 발생 예방에 있어 컨트롤 타워는 모든 기관의 장"이라며 "각 기관의 보고가 늦어져서 그 기관이 컨트롤 타워 역할을 못한 것과 국정상황실·대통령실의 대응은 다른 문제"라고 지적했고 전주혜 의원은 야당의 공세를 두고 "결국은 '대통령실이 제대로 못 했다'고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 '답정너'식 질의는 지양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이날 국민의힘은 민주당 신현영 의원의 '닥터카' 동승 논란을 정조준하기도 했다.
국민의힘 박성민 의원은 신 의원이 재난의료지원팀(DMAT) 자격을 유지하기 위한 교육을 이수하지 않은 점을 들어 "자격 없는 사람이 가서 구조 활동을 방해한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주혜 의원도 "10·29 참사와 관련해 일손이 (환자) 한 명이라도 더 살려야 할 시간에 부적절한 행동이 발생한 것은 유족들을 두 번 울리는 것으로, 굉장히 유감"이라고 했다.
이날 신 의원을 두고 여당의 질의가 계속되자 일부 유가족이 신 의원만 물고 늘어지는 국조가 무슨 의미가 있냐며 강하게 항의하면서 국조특위가 정회되기도 했다. 기관보고가 정회된 이후 한 유족은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에게 다가가 항의하기도 했다.
서정혁기자 seo1900@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