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수백 건 이상의 '스쿨존' 내 어린이 교통사고가 발생하고 있지만, 전국 초등학교 절반가량이 여전히 통학로 보도가 완비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북의 경우 설치 비율이 가장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0일 국민의힘 김용판(대구 달서병)의원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초등학교 인접도로 보도설치 실태조사' 자료에 따르면, 어린이 보호구역으로 지정된 6천293개 초등학교 가운데 통학로에 보도 설치가 완비된 건 3천368개교(53.5%)에 그쳤다. 나머지 일부 설치가 2천925개교(38.2%), 아예 설치되지 않은 게 523개교(8.3%)였다.
지역별로 대구와 경북은 큰 차이를 보였다. 경북은 26%로 가장 설치율이 낮았다. 전북 32.1%, 충북 39.1%, 전남 40.7%, 제주 45.1%, 경남 46.3%, 부산 47.6%, 대구 48.5%, 강원 48.8%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북의 경우 통학로 보도가 아예 설치되지 않은 초등학교가 90개교에 달해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전남(81개교), 전북(70), 경남(54), 경기(53) 순이었다.
사정이 이렇지만, 지자체의 사업 추진은 다소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안부가 김 의원실에 제출한 통학로 보도 설치를 위한 '최근 5년간 어린이 보호구역 개선사업 지역별 집행 내역'을 살펴보면, 평균 예산 집행률이 2018년 88.3%에서 지난해 80.2%로 매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 의원은 "여전히 상당수의 초등학생이 등하교 시 교통사고 위험에 노출돼 있다"며 "정부는 시·도교육청, 경찰청, 지자체 등 관계기관과의 협의를 통해 통학로 조성사업을 신속히 추진하고, 어린이 보호구역 내 통학로 표준모델 개선 및 확충에도 힘써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서정혁기자 seo1900@yeongnam.com
특히 경북의 경우 설치 비율이 가장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0일 국민의힘 김용판(대구 달서병)의원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초등학교 인접도로 보도설치 실태조사' 자료에 따르면, 어린이 보호구역으로 지정된 6천293개 초등학교 가운데 통학로에 보도 설치가 완비된 건 3천368개교(53.5%)에 그쳤다. 나머지 일부 설치가 2천925개교(38.2%), 아예 설치되지 않은 게 523개교(8.3%)였다.
지역별로 대구와 경북은 큰 차이를 보였다. 경북은 26%로 가장 설치율이 낮았다. 전북 32.1%, 충북 39.1%, 전남 40.7%, 제주 45.1%, 경남 46.3%, 부산 47.6%, 대구 48.5%, 강원 48.8%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북의 경우 통학로 보도가 아예 설치되지 않은 초등학교가 90개교에 달해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전남(81개교), 전북(70), 경남(54), 경기(53) 순이었다.
사정이 이렇지만, 지자체의 사업 추진은 다소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안부가 김 의원실에 제출한 통학로 보도 설치를 위한 '최근 5년간 어린이 보호구역 개선사업 지역별 집행 내역'을 살펴보면, 평균 예산 집행률이 2018년 88.3%에서 지난해 80.2%로 매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 의원은 "여전히 상당수의 초등학생이 등하교 시 교통사고 위험에 노출돼 있다"며 "정부는 시·도교육청, 경찰청, 지자체 등 관계기관과의 협의를 통해 통학로 조성사업을 신속히 추진하고, 어린이 보호구역 내 통학로 표준모델 개선 및 확충에도 힘써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서정혁기자 seo1900@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