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진신호가 빨간불로 바뀌었음에도 꼬리물기로 진입한 차량들. 영남일보DB.
대구 도로 위 교통문화가 한층 성숙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끼어들기·꼬리물기 등 신호위반 행태가 줄면서, 준법 운전 문화가 조금씩 뿌리내리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5일 한국교통안전공단이 발표한 '교통문화실태조사'를 보면, 대구 운전자의 신호준수율(지역 내 교차로 통과차량 중 신호를 지킨 차량 비율)은 2020년 96.11%에서 지난해 97.64%로 소폭 상승했다.
지난해 대구의 운전자 신호준수율은 전국 7개 특·광역시 중 최상위권이다. 대구에 이어 광주(97.01%), 부산(96.77%), 울산(96.76%), 대전(96.15%), 인천(95.71%), 서울(94.96%) 순이었다.
대구에선 서구 신호준수율(99.43%)이 가장 높았다. 이어 수성구(98.57%), 달성군(98.42%), 동구(97.79%), 군위군(97.65%), 북구(97.55%) 순이었다. 남구(95.39%), 달서구(95.5%), 중구(95.65%)는 상대적으로 신호 준수율이 낮았다.
이 같은 흐름은 교통법규 단속 통계에서도 확인된다. 대구경찰청에 확인결과, 꼬리물기 단속 건수는 2022년 180건에서 지난해 118건으로 34.4%(62건) 감소했다. 올 상반기(1~6월)는 41건에 그쳐 이 같은 추세가 이어진다면 더 큰 폭의 감소율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끼어들기 단속도 2022년 6천621건에서 2024년 3천824건으로 줄었다. 올 상반기는 1천50건으로 집계돼 감소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변화는 단속 강화와 시설 개선 결과라고 분석한다. 장기적으론 시민 인식 개선이 병행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홍성령 한국교통안전공단 교수는 "교통문화가 개선된 건 신호위반 카메라 설치, 사고 다발 구간 단속 강화가 효과를 본 것으로 보인다. 시민 준법정신도 예전보다 분명히 나아졌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안전한 도로를 위해선 시민 인식 개선이 병행돼야 한다. 현재는 초등학교까지 일정 수준의 안전교육이 이뤄지지만, 중·고교생으로 넘어가면 입시에 밀려 교통교육은 거의 사라진다"며 "대구는 신호준수율 등 주요 지표에서 전국 최상위권인 만큼, 시민 주도의 교통문화 개선을 지속하면 전국적 모범사례가 될 것"이라고 했다.
경찰도 교통 개선 흐름을 이어가기 위한 단속 강화에 나설 예정이다. 대구경찰청은 지난 달부터 '기초질서 확립 캠페인' 일환으로 꼬리물기와 상습 끼어들기를 집중 계도하고 있다. 9월부터 본격적인 단속에 돌입할 계획이다.
대구경찰청 측은 "끼어들기와 꼬리물기 위반은 주로 출퇴근 시간대, 통행량이 많은 교차로에서 발생한다"며 "관할서별로 위반이 잦은 교차로를 사전 선정한 뒤 다음 달부터 영상단속장비를 활용해 집중단속하겠다"고 했다.

박영민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