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일 고령군청 우륵실에서 인구 3만 회복을 위한 비상대책회의가 열리고 있다. <고령군 제공>

5일 고령군청 우륵실에서 고령군 인구 3만 회복을 위한 비상대책회의가 열리고 있다. <고령군 제공>
경북 고령군이 인구 3만 명 회복을 목표로 전 부서가 참여하는 비상대책회의를 열고 본격적인 종합 대응에 나섰다. 군은 5일 군청 우륵실에서 '인구 3만 회복 비상대책 회의'를 개최하고, 지속되는 인구 감소에 대응하기 위한 전 부서 실무 대책과 실행계획 수립 방향을 논의했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통계에 따르면 고령군의 총인구는 2015년 3만1천292명에서 2018년 3만51명으로 3만 명 대를 유지했으나, 2019년 2만9천613명으로 첫 2만 명 대로 감소됐다. 이후 2023년 2만8천141명, 2024년 현재 2만7천891명으로 최근 10년동안 약 3천400여명의 인구감소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연 평균 340명 정도 줄어든 셈이다. 지방 소멸 위기 지역 중 하나로 분류되는 배경이기도 하다.
이 같은 추세는 청년층의 외부 유출, 출산율 저하, 고령화 등의 복합적인 원인에 따른 것으로 청년 일자리 부족과 교육·정주 여건의 한계는 장기 체류를 어렵게 만든다는 분석이 나온다.
고령군은 인구 문제 해결을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들을 이미 다각도로 운영 중이다. 이번 회의에서는 △ 청년·신혼부부 유입정책 △귀농귀촌 활성화 △출산·보육 기반 확충 △ 정주여건 개선 같은 맞춤형 인구 정책 현황이 점검되었고, 각 부서별 신규 사업 발굴 방안도 함께 논의되었다.
또 단기 지원 위주의 정책이 아닌, 청년층을 위한 지속 가능한 일자리와 주거 인프라, 다문화가정·귀농인의 정착 유도, 커뮤니티 중심의 마을 재생 전략 등 다양한 방안도 강구됐다.
이남철 군수는 "단순한 전입 독려 수준을 넘어 머물고 싶은 고령군을 만들기 위한 전방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며 "부서 간 협업을 통해 실질적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정책 중심으로 재편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고령군은 이번 회의를 계기로 부서별 실행계획을 구체화하고 관련 예산을 단계적으로 반영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석현철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