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이 1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한·베트남 공동언론발표에서 또 럼 베트남 당 서기장의 발언을 경청하고 있다. 연합뉴스
GDP 대비 국방비 3.8%로 증액 가능성
농산물 검역 절차, 비관세 장벽 이슈 부상
경주 APEC 회의와 향후 관계 설정의 중요성 본격 조명
이재명 대통령의 실용주의 외교력 시험대
오는 25일(현지시각) 열리는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간의 첫 정상회담을 두고 정·재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두 정상은 지난달 말 타결한 관세협상의 세부 내용을 정상회담에서 확정짓기로 한 만큼, 이번 회담에서 발표될 세부 합의 내용에 관심이 쏠린다. 이는 국내 경제·사회·정치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정치권이 가장 주목하는 의제는 '안보' 분야다. 미국 측은 최근 '한미동맹'의 역할 변화를 중심으로 한 '현대화'를 언급하고 나섰다. 이는 동북아 정세 변화에 따른 주한미군의 역할 변화, 한국군의 역할 확대, 한국의 국방비 증액,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등 다양한 의제가 포함됐다는 평가다.

도널드 트럼프. 연합뉴스
실제로 미국 워싱턴포스트에서는 미국이 앞선 협상 과정에서 한국의 국방비 지출을 국내총생산(GDP)의 2.6%에서 3.8%로 늘리고 방위비 분담금을 증액하는 방안을 준비했다는 내용이 공개되기도 했다.
다만 정부는 국방비 지출 확대는 어느 정도 열려 있지만 주한미군 전략적 유연성 확대의 경우 양국 간 접점을 찾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미 관세협상의 세부 내용도 관심사다. 특히 3천500억 달러의 대미 투자처와 방식 등이 명확하게 정리되지 않은 채 남아있는 만큼, 양국 간 추가 논의가 이뤄져야 할 지점이 적지 않다는 평가다.
협상 타결 이후 쌀과 소고기의 추가 개방 여부를 두고도 한미 간 설명에 미묘한 온도 차이가 노출된 만큼, 이 대통령이 정상회담에서 관련 의문을 명확하게 해소하느냐도 관건이다.
일각에선 미국이 관세협상에서 미뤄뒀던 농산물 등 분야의 '비관세 장벽' 이슈를 본격적으로 제기하며 다시 압박에 나설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평가다. 한미 양국은 관세협상 이후로도 농산물의 검역 절차 개선, 자동차 안전 기준의 동등성 인정 상한 폐지 등 사안을 두고 협의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일각에선 일부 의제들의 경우 구체적으로 논의하기엔 시간이 촉박한 만큼 이번 정상회담에서는 큰 틀에서의 합의를 이루는 데 주력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정치권은 이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 앞에서 국익을 최대한 지키면서도 한미동맹의 가치는 훼손하지 않는 특유의 '실용주의'를 발휘하기 위해 고심을 거듭할 것으로 보고 있다.
두 정상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에서의 만남 불발 등으로 다소 시간이 걸린 뒤 만나게 됐다는 점도 주목하고 있다. 경주 APEC 회의 초청 및 향후 정상회의에서의 추가 만남을 위해서라도 첫 만남에서 두 정상이 우호적 관계를 설정하느냐도 주요 관전 포인트가 될 전망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영남일보 기자와 만나 "이번 회담에서 (이 대통령이) 경주 APEC 회의에 초청하고 (트럼프 대통령의) 답변이 있을 것으로 안다"고 언급했다.

정재훈
서울정치팀장 정재훈입니다. 대통령실과 국회 여당을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