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이 15일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80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광복절 경축사에서 밝힌 메시지는 북한과는 '대화', 일본은 '미래 협력'으로 요약된다.
15일 이 대통령은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제80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역대 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사에서는 한일 및 남북관계에 '큰 틀'을 제시됐던 만큼, 이 대통령도 사실상 첫 대북·대일 외교 기조를 천명한 셈이다.
특히 이번 경축사는 한일·한미 정상회담을 목전에 두고 열려 이 대통령의 메시지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았다.
정치권은 이재명 정부의 외교 기조는 북한을 향해선 다양한 조치를 통해 '비핵화' 대화의 문을 두드리고, 일본과는 과거 문제도 직시하지만 미래를 위한 협력을 우선시 하겠다는 방침이 제시됐다고 보고 있다.
특히 이 대통령은 이날 북한에 '체제 존중·적대행위 중단' 등 당근책을 제시하며 대화 의사를 강조해 눈길을 끌었다. 대화 재개를 통한 '긴장 완화'를 강조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 대통령은 대북확성기 등 정부 출범 이후 변화된 상황을 거론하며 "앞으로도 실질적 긴장 완화와 신뢰 회복을 위한 조치를 일관되게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엉킨 실타래일수록 인내심을 갖고 차근차근 풀어야 한다"며 "신뢰 회복과 대화 복원부터 시작하는 것이 순서"라고 대화를 거듭 강조했다.
이를 위해 이 대통령은 "북측의 체제를 존중하고, 어떠한 형태의 흡수통일도 추구하지 않을 것이며 일체의 적대행위를 할 뜻도 없다"며 9·19 군사합의의 선제적·단계적 복원도 제시했다.
또한 이 대통령은 북한과의 대화를 "인내하며 기다리겠다"고도 언급했다. 최근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의 담화 등에서 현 정부에 대한 반감을 드러냈지만 지속되는 조치로, 북측의 입장 변화를 기다리겠다고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이재명 대통령과 김혜경 여사가 15일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80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참석자들과 만세 삼창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일 문제에 대해서 이 대통령은 '과거사는 과거사대로' 대응하지만 '미래지향적으로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투트랙' 기조를 재확인했다. 이 대통령은 "올해는 광복 80주년이자 한일수교 60주년이 되는 해"라며 "과거를 직시하되 미래로 나아가는 지혜를 발휘해야 할 때"라고 했다.
이 태돝열은 특히 "옛 독립지사들 역시 언젠가는 한일이 진정한 이웃이 되길 염원했었다"고 언급하며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일본은 마당을 같이 쓰는 이웃이자 경제 발전에서 떼어 놓고 생각할 수 없는 중요한 동반자"라며 "양국이 신뢰를 기반으로 미래를 위해 협력할 때 초격차 인공지능 시대의 도전도 능히 헤쳐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 대통령은 "일본 정부가 과거의 아픈 역사를 직시하고 양국 간 신뢰가 훼손되지 않게 노력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는 일본 정부를 향한 메시지도 냈다.
이외에도 이 대통령은 경축사를 통해 광복 80년을 맞은 한국의 현재에 대한 진단 및 앞으로의 변화에 대해서도 주목했다.
더욱이 이 대통령은 이른바 '내란 세력'을 겨냥해 "분단을 빌미 삼아 국론을 분열시켰다", "민주주의를 억압하고 국민주권을 제약한 것도 모자라 전쟁의 참화로 국민을 몰아넣으려는 무도한 시도마저 서슴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 대통령은 "분열과 배제의 어두운 에너지를 포용과 통합, 연대의 밝은 에너지로 바꿀 때 더 나은 미래로 도약할 수 있다"며 "낡은 이념과 진영에 기초한 분열의 정치에서 탈피해 대화와 양보에 기초한 연대와 상생의 정치를 함께 만들자"고 촉구했다.
어 "광복으로 찾은 빛을 다시는 빼앗기지 않도록, 독재와 내란으로부터 지켜낸 빛이 다시는 꺼지지 않도록 모두 함께 지켜내자"고 말했다.
경제 상황에 대해서도 이 대통령은 한미 관세 협상을 언급한 뒤 "변화하는 국제정세를 따라잡지 못하고 열강의 틈바구니에서 치이다 국권을 빼앗긴 120년 전 을사년의 과오를 되풀이할 수 없다"고 했다. 이어 "2025년 을사년은 달라야 한다"며 첨단기술 육성 및 에너지 전환을 통한 대응이 시급하다고 강조해 눈길을 끌었다.

정재훈
서울정치팀장 정재훈입니다. 대통령실과 국회 여당을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