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자율주행 실증 인프라 지원…업계 “실증 넘어 ‘유료 서비스·예산 지원 절실”

  • 이동현(경제)
  • |
  • 입력 2025-09-17 19:07  |  발행일 2025-09-17
막대한 실증 비용에 ‘사업화’ 난항 지적
업계 ‘유료 서비스’ 확대, 맞춤형 데이터 지원 등 현실적 대책 요구
16일 대구 호텔인터불고에서 열린 자율주행 오픈이노베이션 기업 간담회 및 기술교류 세미나에 참석한 자율주행 선도기업과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16일 대구 호텔인터불고에서 열린 '자율주행 오픈이노베이션 기업 간담회 및 기술교류 세미나'에 참석한 자율주행 선도기업과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대구시가 자율주행 기술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해 기업과의 소통에 나섰다. 현장 기업들은 단순한 도로 실증을 넘어 실제 유료 서비스 운영을 위한 '예산 지원'이 절실하다고 입을 모았다.


대구시는 지난 16일 대구 인터불고호텔에서 자율주행 선도기업과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자율주행 오픈이노베이션 기업 간담회 및 기술교류 세미나'를 가졌다. 시는 이 자리에서 158㎞에 달하는 지역내 자율주행 실증도로와 관련 인프라를 바탕으로 기업 맞춤형 지원을 약속했다. 대구시는한국자동차연구원 대구경북분원과 함께 실도로 인프라 연계 자율주행 오픈이노베이션 생태계 구축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는 오토노머스에이투지(이하 a2z·경북 경산시), 라이드플럭스(제주), 에스더블유엠(SWM·경기 안양) 등 국내 유력 자율주행 기업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해 관심을 모았다.


참석 기업 관계자들은 자율주행 기술 개발의 가장 큰 걸림돌로 '비용' 문제를 지적하며 보다 현실적인 지원책을 요구했다. 이들은 "실도로 실증이 가장 중요하지만, 막대한 비용이 수반돼 안전성 검증을 위한 충분한 시간과 차량 확보가 어렵다"고 토로했다. 특히 업계는 지금까지의 기술 실증 단계를 넘어 시민들이 직접 이용할 수 있는 유료 서비스를 통한 사업 모델 발굴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a2z 측은 과거 대구 테크노폴리스에서 운영했던 유상 자율주행 서비스 '달구벌 자율차' 사례를 언급하며 "두 달간 700여명이 이용할 만큼 초단거리 이동 서비스에 대한 시민들의 요구가 확인됐다. 이제는 규제를 푸는 것을 넘어 예산을 풀어줄 때"라며 지역 맞춤형 서비스가 지속될 수 있도록 예산 편성을 통한 사업 확대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SWM 측 역시 "대구 실증 도로에서 유상 운송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해 달라"고 구체적으로 요청하며 "서비스를 통해 축적되는 실제 데이터는 다른 기업이나 학계에서도 가치 있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간담회에선 데이터 수집 방식에 대한 현장과 정부의 시각차도 드러났다. 정부 주도로 표준화된 데이터를 구축해 기업에 제공하는 기존 방식은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기업들은 "회사마다 사용하는 센서와 AI 모델이 달라 정부 제공 데이터는 활용하기 어렵다"며 "개별 기업의 데이터 취득 활동을 직접 지원하는 방식이 더 바람직하다"고 건의했다.


'중복 투자 방지'라는 정부의 예산 집행 기조가 오히려 산업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라이드플럭스 관계자는 "자율주행은 구글 웨이모가 15조원 이상을 투자할 만큼 막대한 비용이 드는 분야"라며 "중복 투자를 피하려다 보면 오히려 집중적인 투자를 통한 성과 창출이 어려워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대구시 김윤정 미래모빌리티과장은 "더 좋은 아이템, 제언 주시면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지원할 수 있도록 하겠다"면서 "민관 협력을 강화해 자율주행 상용화를 앞당기겠다"고 말했다.


기자 이미지

이동현(경제)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