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대병원이 국립대병원 중 유일하게 장애인 표준사업장 물품 구매 비율을 두 자릿수까지 끌어올린 것으로 파악됐다. 공공의료기관으로서의 책임을 실질적으로 이행하는데 솔선수범하고 있는 모양새다. 장애인 표준사업장 의무구매 제도는 취약계층의 안정된 일자리와 자립을 보장하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망이다.
24일 국회 교육위원회 강경숙 의원(조국혁신당)이 전국 국립대병원 (11곳)에서 받은 최근 3년치 장애인 표준사업장 구매실적 자료를 보면, 경북대병원의 의무구매실적은 2022년 5.83%, 2023년 8.85%에 이어 지난해엔 10.17%를 돌파했다. 3년 연속 가파른 상승세다. 국립대병원 상당수가 구매실적 기준치(0.8%)를 한창 밑돌고 있는 것과는 큰 대조를 보인다. 이는 경북대병원이 관련 예산 증액 뿐 아니라, 장애인 고용 확대와 사회적 가치 실현을 병원 운영 원칙으로 삼은 결과로 분석된다.
반면 제주대병원(0.02%), 서울대병원(0.03%), 충남대병원(0.04%) 등은 기준치에도 한참 못 미쳤다. 특히 서울대병원은 국정감사 지적 후 구매액을 크게 늘렸다. 하지만 비율은 여전히 최하위권이다.
강경숙 의원은 "장애인 표준사업장 구매는 단순한 행정 절차가 아니라 사회적 책임"이라며 "경북대병원 사례는 모든 국립대병원이 본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승규
의료와 달성군을 맡고 있습니다. 정확하고 깊게 전달 하겠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