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은 남쪽, 의회는 원도심”…3~4km ‘두 청사 분리’가 만든 행정 비효율

  • 권기웅
  • |
  • 입력 2025-10-13 17:13  |  발행일 2025-10-13

민원·의정 동선 이중화로 주민 참여 저하…"통합‧근접 이전" 요구 재점화

영주시청 <영주시 제공>

영주시청 <영주시 제공>

영주시의회 전경 <영주시의회 제공>

영주시의회 전경 <영주시의회 제공>

경북 영주시청과 시의회가 도심 양쪽으로 갈라선 분리 청사 체제로 '의정-집행' 즉시 협의의 차질을 낳으며 주민 불편과 행정 비효율을 키우고 있다.


영주시의 행정 비효율 논란의 핵심은 '거리'다. 1980년대 개청한 본청은 휴천동 시청로 1, 의회는 원도심 영주동 광복로 65에 각각 위치한다. 양 기관의 거리는 도심 도로 기준 3~4㎞에 달해 도보로 약 1시간, 차량으로 약 15분이 소요된다. 의회 질의·답변과 청원, 주민설명회가 엮이는 현안이 잦은 만큼, 시민과 공무원의 왕복 이동은 상시화됐다.


현장의 목소리는 불편을 향한다. 영주동에 사는 이재길(58) 씨는 "다른 지역은 시청과 의회가 붙어 있어 각종 민원 처리에 어려움이 없는 반면, 영주는 두 갈래로 나눠져 있다보니 시민이든, 공무원이든 불편함이 이만저만이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공무원들도 업무 협조와 협의, 연속성, 신속성 등이 현저히 떨어진다고 하소연한다. 시가 원스톱 민원 강화와 안내 확충으로 '보완'을 시도했지만, 물리적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두 청사를 붙이거나 최소한 보행권 내로 묶자는 요구는 계속되고 있다. 2010년대 중반부터 시의회를 시청 인접 부지(옛 보건소 자리)로 옮기자는 제안,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시청사 이전론이 제기됐다. 청사 이전·공공청사 변경 관련 도시계획 고시 등 개별 조정은 이어졌지만, 본청과 의회를 동시에 묶는 통합 결론은 아직 없는 상태이다.


정치권의 문제 제기도 누적돼 왔다. 2022년 우충무 영주시의원은 시정질의에서 "영주시청사 이전 방안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그는 본관 리모델링과 주차타워 신축 등 각종 보완에 예산을 투입했음에도 사무공간 협소와 주차난, 시설 노후 문제가 되풀이된다고 지적하며 "구도심 공동화 방지를 위해서도 이전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당시 집행부가 "적극 검토"를 시사했지만, 시장 궐위로 논의는 다시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다.


최영섭 영주발전연구소장은 "영주시 청사가 40년을 훌쩍 넘긴 상황에서 업무공간 협소, 주차·민원 불편, 원도심 경기 회복 등 과제를 함께 풀려면 이전에 대한 시민적 갈망을 정면으로 다룰 때"라고 조언했다.



기자 이미지

권기웅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