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 CEO 서밋 행사를 위해 한국을 찾은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가 30일 서울 삼성동 한 치킨집에서 진행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치맥 회동 중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2025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행사를 위해 방한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한국에 선물 보따리를 풀었다. 한국 정부와 기업에 26만개에 달하는 최첨단 인공지능(AI) 그래픽처리장치(GPU)을 공급하기로 하고, 기업과의 긴밀한 투자·협력 계획도 밝혔다.
AI 컴퓨팅 기술 분야 글로벌 선두주자인 엔비디아는 31일 한국 정부와 기업에 최신 AI 그래픽처리장치(GPU)인 '블랙웰(B200)' 26만개를 공급한다고 발표했다. 기업별로는 삼성전자, SK그룹, 현대차에 각각 5만개, 네이버에 6만개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한국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도 5만개의 블랙웰을 공급받는다.
블랙웰이 장당 3만~4만달러 상당인 점을 감안하면, 총 78억~104억달러(한화 14조8천억~19조8천억원)에 달하는 구매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전 세계적으로 GPU 품귀 현상이 벌어지는 상황에서 한국이 우선 공급을 받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이재명 정부가 역점을 두고 추진하는 '소버린 AI' 구축에도 힘이 실릴 것으로 예상된다.
또 대량의 GPU가 도입되면 국내 AI 인프라 전환 속도 개선은 물론, 반도체·모빌리티·로보틱스 등 핵심 산업의 경쟁력 제고 효과가 기대된다. 특히 엔비디아 GPU의 성능을 좌우하는 고대역폭 메모리(HBM)를 삼성전자·SK하이닉스가 주력 공급해온 만큼, 한국 메모리 업계도 함께 수혜를 보게 된다.
이날 엔비디아는 국내 기업들과의 신규 협업 프로젝트도 발표했다. 삼성전자는 이번 물량을 기반으로 업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AI 팩토리' 구축에 나선다. 설계-공정-운영-품질 전 과정을 서로 연결한 지능형 제조 플랫폼을 꾸리고, 엔비디아 '옴니버스' 기반 디지털 트윈으로 개발·양산 주기를 단축하겠다는 구상이다.
SK그룹은 엔비디아와 '제조 AI 클라우드'를 함께 조성한다. 엔비디아 옴니버스를 토대로 제조공정 디지털 트윈과 생산 시뮬레이션을 고도화하고, 울산 100MW(메가와트)급 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와 연동해 그룹·산학연·스타트업에 개방형 인프라를 제공한다.
현대차그룹은 엔비디아와 '피지컬 AI'에 약 30억달러(약 4조2천800억원)를 공동 투자한다. 블랙웰 5만장으로 차량 내 AI, 자율주행, 생산·로봇을 하나의 지능형 생태계로 묶는 AI 팩토리를 도입하고, 엔비디아 AI 기술센터·현대차 피지컬 AI 애플리케이션 센터·데이터센터 설립까지 패키지로 협업을 추진한다.
이 밖에도 네이버는 엔비디아와 피지컬 AI 플랫폼을 공동 개발하고, LG전자는 엔비디아 '아이작 GROOT' 위에 자체 피지컬 AI 모델 개발을 통해 로보틱스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다.
엔비디아 측은 "새로운 블랙웰 인프라로 한국의 전체 AI GPU 수량은 6만5000개에서 30만개 이상으로 증가할 것"이라며 "이로써 한국은 세계적 수준의 AI 리더가 될 토대를 마련하게 됐다"고 평가했다.
이승엽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영상] 월정교 위 수놓은 한복의 향연··· 신라 왕복부터 AI 한복까지](https://www.yeongnam.com/mnt/file_m/202510/news-m.v1.20251031.6f8bf5a4fea9457483eb7a759d3496d2_P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