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군청·학교직원 사칭 잇따라… 수천만 원 피해 속출
경북경찰청이 최근 도내 전역에서 시·군청과 학교 등 공공기관 직원을 사칭한 '물품구매사기'가 잇따라 발생하자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경찰에 따르면 사기범들은 실제 공공기관 명의의 위조된 신분증이나 공문서를 휴대전화로 전송해 신뢰를 유도한 뒤 대량납품을 빌미로 특정 물품의 '대리 구매'를 요청하는 수법을 사용하고 있다.
피해자들은 '대금을 곧 결제하겠다'는 말에 속아 수백만~수천만 원 상당의 물품을 대신 구매하고 이후 연락이 끊기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실제 지난 3일 구미에서는 한 중학교 행정실 직원을 사칭한 사람이 소방 관련 업체에 전화를 걸어 "학교 납품용 방수포 30개를 대신 구매해 달라"고 요청한 뒤 4천600만 원 상당의 물품 대금을 편취한 사건이 발생했다.
앞서 지난달 24일에는 포항에서 공공기관 직원을 사칭한 인물이 도·소매업체를 속여 "대학교 납품용 공기호흡기를 대리 구매해 달라"고 유도해 3천100만 원을 가로챘다.
경북경찰은 "이 같은 수법은 피해 규모가 크고, 피해자들이 대부분 거래 경험이 많은 자영업자나 소상공인이라는 점에서 사회적 경각심이 필요하다"며 "현재 도내 각 경찰서 지능팀을 수사전담팀으로 지정하고, 조직적이고 해외 거점을 둔 범죄에 대해서는 경찰청 형사기동대와 공조해 집중 수사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경찰은 시·군청 담당 부서와 소상공인연합회 간 '핫라인'을 구축해 사기 발생 시 신속한 정보 공유로 피해 확산을 막을 방침이다.
경북경찰청 관계자는 "이른바 '물품구매 사칭 사기'는 공공기관을 믿는 심리를 악용한 전형적인 지능범죄"라며 "의심스러운 전화를 받으면 반드시 전송된 연락처가 아닌 공식 경로(인터넷·114 등)로 기관에 직접 확인하고, 대량 주문 시 선결제나 예약금 요청 등 기본 절차를 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피재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