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갈수록 심화하는 계파 갈등에 공천 잡음까지 터져 나오면서 연일 시끄러운 모습이다. 총선 정국에서 당이 단합은커녕 오히려 내홍의 수렁에 빠지는 상황이지만, 이재명 대표는 '관망 모드'로 일관하면서 불협화음은 더욱 커지고 있다.
비주류 모임인 '원칙과 상식'을 비롯한 당내 비명(비이재명)계는 이 대표 사퇴에 이어 '통합 비상대책위원회'로의 지도체제 전환을 촉구하고 있다.
정세균 전 국무총리와 이낙연 전 대표도 26일 서울에서 1시간가량 비공개 조찬 회동을 갖고 민주당 현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이들은 김부겸 전 국무총리를 포함한 '3총리'(문재인 정부 시절 총리를 지낸 정세균·김부겸·이낙연) 회동을 추진한다고 밝히면서 이재명 대표를 압박하고 있다.
이날 이 전 대표 측은 입장문을 통해 "두 사람은 국가와 민주당 안팎의 문제들에 대해 솔직한 의견을 공유했다"며 "두 사람은 적절한 상황이 조성된다면 김부겸 전 총리를 포함한 3총리 회동을 추진할 수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전했다. 이 전 대표가 3총리 회동까지 거론하며 압박 강도를 높이면서 이 대표 역시 고심이 깊어질 수밖에 없다. 이 전 대표는 혁신안을 내놓지 않으면 신당을 창당하겠다고 선언한 상태이다. 당내 비명계도 친명(친이재명) 주류가 강성 지지층인 '개딸' 세력을 등에 업고서 당내 민주주의를 파괴하고 있으므로 총선 승리를 위해서는 당이 혁신과 통합에 나서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 대표의 선택지는 갈수록 좁아지고 있다. 이 때문에 대안으로 제시되는 것 중 하나가 3총리 등을 선대위원장으로 내세운 통합 선거대책위원회 출범이다. 하지만 아이디어 차원에 불과하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당의 혁신과 변화가 이뤄지지 않으면 신당을 창당하겠다고 예고해 온 이 전 대표가 갑작스레 당의 총선 기구 책임자로 오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28일로 예정된 이 대표와 정 전 총리 간 단독 회동이 당 내홍의 분수령이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서정혁기자 seo1900@yeongnam.com
비주류 모임인 '원칙과 상식'을 비롯한 당내 비명(비이재명)계는 이 대표 사퇴에 이어 '통합 비상대책위원회'로의 지도체제 전환을 촉구하고 있다.
정세균 전 국무총리와 이낙연 전 대표도 26일 서울에서 1시간가량 비공개 조찬 회동을 갖고 민주당 현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이들은 김부겸 전 국무총리를 포함한 '3총리'(문재인 정부 시절 총리를 지낸 정세균·김부겸·이낙연) 회동을 추진한다고 밝히면서 이재명 대표를 압박하고 있다.
이날 이 전 대표 측은 입장문을 통해 "두 사람은 국가와 민주당 안팎의 문제들에 대해 솔직한 의견을 공유했다"며 "두 사람은 적절한 상황이 조성된다면 김부겸 전 총리를 포함한 3총리 회동을 추진할 수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전했다. 이 전 대표가 3총리 회동까지 거론하며 압박 강도를 높이면서 이 대표 역시 고심이 깊어질 수밖에 없다. 이 전 대표는 혁신안을 내놓지 않으면 신당을 창당하겠다고 선언한 상태이다. 당내 비명계도 친명(친이재명) 주류가 강성 지지층인 '개딸' 세력을 등에 업고서 당내 민주주의를 파괴하고 있으므로 총선 승리를 위해서는 당이 혁신과 통합에 나서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 대표의 선택지는 갈수록 좁아지고 있다. 이 때문에 대안으로 제시되는 것 중 하나가 3총리 등을 선대위원장으로 내세운 통합 선거대책위원회 출범이다. 하지만 아이디어 차원에 불과하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당의 혁신과 변화가 이뤄지지 않으면 신당을 창당하겠다고 예고해 온 이 전 대표가 갑작스레 당의 총선 기구 책임자로 오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28일로 예정된 이 대표와 정 전 총리 간 단독 회동이 당 내홍의 분수령이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서정혁기자 seo1900@yeongnam.com

서정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