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K와 TK '중진 활용법' 다르게 적용하는 국민의힘, 이유는?

  • 서정혁
  • |
  • 입력 2024-02-15  |  수정 2024-02-14 17:15  |  발행일 2024-02-15 제4면
PK 지역, 중진 재배치 통해 낙동강벨트 탈환 요청

TK 지역 중진에 대해선 아무런 요구 없어

TK에 대한 보여주기식 인적쇄신 가능성도
2024021401000410300016291
국민의힘 서병수 의원이 7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서 의원은 오늘 저 서병수는 낙동강 벨트라고 불리는 부산 북·강서구 갑으로 출전하라는 당의 요구를 받았다며 당의 결정을 존중하고 따르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국민의힘이 보수텃밭 TK(대구·경북)와 PK(부산·경남·울산) 중진 의원 활용을 다르게 하면서 정치권에서 다양한 해석이 나오고 있다. 험지 출마를 요구한 PK 중진들과 달리 TK에 대한 요구가 없다는 점 때문에 인적쇄신 신호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국민의힘은 낙동강벨트에 PK 중진인 5선 서병수, 3선 김태호·조해진 의원을 차출했다. 사실상 민주당 당선을 막기 위한 행보다. 낙동강벨트는 낙동강을 끼고 있는 9개 선거구를 지칭한다. 이 지역에는 민주당이 5석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국민의힘은 부산 부산진갑이 지역구인 서 의원을 부산 북·강서갑에 보내 민주당 전재수 의원(재선)에게 지역 탈환을 요구했다. 김 의원(경남 산청-함양-거창-합천)도 경남 양산을에서 김두관 민주당 의원과 대결을 예고하고 있다. 조 의원(경남 밀양=-의령-함안-창녕)은 경남 김해을에서 민주당 재선 김정호 의원과 대결한다. 여당은 PK 지역에서 여야 경쟁이 치열한 곳에서 의석수를 확보하기 위해 중진을 재배치하는 등 초강수를 둔 상태다.

반면 보수 텃밭 핵심인 TK에는 아무런 요구가 없다. 이를 두고 정치권은 정치적 지형이 다르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 사실상 PK와 TK는 보수 텃밭이지만 분위기가 전혀 다르다. PK는 여야 경쟁이 치열한 탓에 중량급 인사의 재배치를 통한 경쟁 구도가 필요하다. 이에 비해 TK는 25석 전체를 국민의힘이 장악, '공천이 곧 당선'이란 인식에 중진 활용도 낮다. 지역 중진들의 경쟁력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있다. 공관위가 TK 중진 의원들을 수도권으로 차출하는 방법이 있지만, 사실상 이들의 출마가 수도권 승리를 보장할 수 없기 때문이다. 장동혁 사무총장은 전날 TK 중진들에 대해 "특별히 험지라고 할 만한 곳은 없다. 그분들을 재배치해서 두 석을 얻을 수 있는 곳이 있을까"라고 했다

정치권은 TK에 대한 공관위의 남은 선택지는 '인적 쇄신'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PK의 변화가 상당한 탓에 이에 맞게 TK 역시 인적 쇄신을 통한 파장을 만들 수 있다는 논리다. 한 정치권 관계자는 "총선 때마다 TK를 대상으로 절반 정도 물갈이가 이뤄졌다"며 "TK가 보수 텃밭인 까닭에 PK에 상응하는 과감한 인적쇄신을 단행, 변화를 보여줄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

 

서정혁기자 seo1900@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서정혁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정치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