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석열 대통령이 9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집무실에서 '윤석열정부 2년 국민보고 및 기자회견'의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윤석열 대통령이 10일 신임 시민사회수석으로 전광삼 전 시민소통비서관을 임명하면서 3기 대통령실 구성이 완료됐다. 지난달 11일 국가안보실을 제외한 수석비서관급 이상 고위 참모진 전원이 사의를 표명한 지 29일 만이다.
3기 참모진에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윤석열 정부 출범과 함께 폐지한 민정수석실의 부활이다. 윤 대통령은 정치 입문 때부터 사정기관을 장악하고 막강한 권력을 휘두르던 민정수석실 폐지를 추진했지만, 국민 정서와 여론 파악 기능 약화를 초래해 총선 패배로 이어졌다는 지적이 잇따르자 민심 수렴을 담당할 민정수석실 부활을 결정했다.
![]() |
대통령실 시민사회수석에 임명된 전광삼 전 시민소통비서관이 1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소감을 말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
민정비서관에는 이동옥 행정안전부 대변인이, 공직기강비서관에는 4·10 총선에 출마했다 낙선한 이원모 전 대통령실 인사비서관이 기용됐다. 비서실장에는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정치인 출신인 5선의 정진석 국민의힘 의원이 기용됐고, 정무수석 자리는 재선을 지낸 홍철호 전 의원이 채웠다.
황상무 전 시민사회수석의 이른바 '회칼 테러' 발언으로 논란을 빚은 시민사회수석실은 시민사회와 소통 창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돼 존치하기로 결정됐다. 이로써 3기 대통령실은 기존 3실장(비서실·정책실·국가안보실)·6수석(정무·홍보·시민사회·경제·사회·과학기술) 체제에서 민정수석이 추가돼 3실장·7수석으로 확대됐다. 1기 대통령실의 2실장 5수석 체제와 비교하면 실장 1명, 수석 2명이 늘었다.
이날 참모진 인선이 마무리됨에 따라 윤 대통령은 사의를 표명한 한덕수 국무총리의 후임 인선 등 개각 작업에 본격 착수할 것으로 보인다.
서정혁기자 seo1900@yeongnam.com

서정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