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민의힘 서병수 제4차 전당대회 선거관리위원장(왼쪽 세번째)이 3일 오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임명장을 받은 뒤 첫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
국민의힘 차기 당 대표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 선거관리위원회가 3일 첫 회의를 갖고 전대 준비에 돌입했다. 국민의힘은 이날 전당대회 당헌·당규 개정을 위한 특위 구성을 완료했고 다음달 25일 전당대회에서 새 당대표를 선출하기로 했다.
곽규택 수석대변인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에서 선관위와 당헌·당규 개정 특위 구성안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국민의힘에 따르면 선관위는 11명으로 구성된다. 위원장은 서병수 전 의원이, 부위원장은 성일종 사무총장이 맡는다. 또 7명의 당내· 민간 인사가 임명됐고 이중 여성과 청년은 각각 4명에 달한다. 이에 따라 최대 현안인 전대 개최 시기와 민심 반영비율(전대룰), 지도체제 등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잠정적이지만, 전당대회 개최 시기는 7월25일이 유력한 상황이다. 강전애 전당대회 선거관리위원회 대변인은 이날 1차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잠정적으로 7월 25일로 결정됐다"고 밝혔다.
당내에서 다양한 의견이 분출되고 있는 전대룰 개정도 관심사다. 국민의힘은 이날 당헌·당규 개정을 위한 '당헌·당규 개정 특위'를 구성했다. 특위는 7명으로 구성되며 국회 법사위원장을 지낸 여상규 전 의원이 위원장을 위원으로는 최형두·박형수·이달희 의원이 참여한다. 현행 '당원 100%' 전대룰은 지난 총선 패배 원인 중 하나로 지목받고 있기 때문에 변화 가능성이 높다. 현재 당권주자를 비록해 당내에서는 일반 여론조사 비율을 30%에서 50%까지 반영하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집단지도체제에 대한 논의도 본격화할 것을 보인다. 현재 국민의힘은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각각 선출하는 단일 지도체제를 선택하고 있다. 당 대표를 중심으로 단일대오를 형성할 수 있지만, 최고위원 존재감이 떨어지고 수직적 당정관계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된다. 이에 당대표와 최고위원을 한번에 선출하는 집단지도체제에 대한 논의도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집단지도체제의 경우 유력 인사들의 전대 참여를 유도해 총선 참패 분위기를 이겨내고 전대 흥행과 당에 대한 관심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황 위원장은 "출마하시는 후보자들이 훌륭한 분들이 나오기를 기대한다"며 "선출 방식도 우리가 모두 뜻을 모아서 하나의 결론을 도출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서정혁기자 seo1900@yeongnam.com

서정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