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당헌·당규개정특별위원회가 5일 당대표 경선 룰과 지도체제 전환 등에 대해 논의했지만, 결론을 내지 못했다. 특히 여론조사 반영 비율을 높이는 방안을 두고 현역 의원들의 우려도 상당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여상규 특위위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2차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전대룰에 대한 논의는) 거의 원점으로 돌아갔다고 생각하시면 되겠다"며 "(당대표 선출에) 민심을 반영해야 한다는 의견은 당연히 유효하고, 민심 반영 비율을 어느 정도 할 건지 관련해선 다시 논의를 해야 할 것 같다"고 전했다. 전날까지 여론조사 반영 비율을 30~50% 높이는 것으로 의견이 모아진 것으로 전해졌지만 하루 만에 원점으로 돌린 셈이다.
여 위원장에 따르면 이날 회의에서는 "보수 정당의 정체성을 흔들 정도로 민심 반영 비율을 높이는 것은 당심을 훼손하는 것 아닌가"라는 우려와 현역 의원들 사이에서 '30%가 과하지 않나'는 의견이 많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여 위원장은 "당심 민심 반영 비율에 관해 갑론을박이 있었다"며 "총선 결과를 생각해서 민심을 많이 반영하자는 의견이 있었고, 당심 100%에서 민심을 30%, 50% 반영하는 건 당을 혼란스럽게 할 수 있는 것 아니냐는 의견도 있어 어제 결정을 안 한 게 굉장히 잘했다 싶은 생각이 든다"고 회의 분위기를 전했다. 다만 현행 '당원 투표 100%'를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은 없었던 것으로 전해지면서 전대에서 민심은 어느 정도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
또 당내 관심사인 현행 단일 지도 체제 개편 역시 좀 더 신중해야 한다는 분위기로 바뀐 것으로 알려졌다. 여 위원장은 "(전날 첫 회의에서는) 단일 지도 체제, 집단 지도 체제, 절충형 혼합형 지도 체제 등 3가지 안에 대해 논의하면 결론이 날 것 같은 (분위기였는데 오늘은) '지금 지도체제 개편을 할 땐가' 의문을 제기하는 분들이 많았다"고 밝혔다. 이어 "갑자기 전당대회를 앞두고 지명된 당헌·당규개정특위 위원들이 지도체제까지 거론하고 다른 안을 내는 것은 특위의 권한 범위를 넘어서는 것 아닌가 라는 의견들이 많았다"고 했다.
한편 이날 국민의힘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은 원외 당협위원장들에게 2인 지도체제(절충형 지도체제)에 관해 의견을 수렴해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2인 지도체제는 당 대표와 최고위원 경선을 따로 진행하되, 당대표 출마자 중 2위가 수석 최고위원을 맡는 '하이브리드형'(절충형) 체제다. 서정혁기자 seo1900@yeongnam.com
여상규 특위위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2차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전대룰에 대한 논의는) 거의 원점으로 돌아갔다고 생각하시면 되겠다"며 "(당대표 선출에) 민심을 반영해야 한다는 의견은 당연히 유효하고, 민심 반영 비율을 어느 정도 할 건지 관련해선 다시 논의를 해야 할 것 같다"고 전했다. 전날까지 여론조사 반영 비율을 30~50% 높이는 것으로 의견이 모아진 것으로 전해졌지만 하루 만에 원점으로 돌린 셈이다.
여 위원장에 따르면 이날 회의에서는 "보수 정당의 정체성을 흔들 정도로 민심 반영 비율을 높이는 것은 당심을 훼손하는 것 아닌가"라는 우려와 현역 의원들 사이에서 '30%가 과하지 않나'는 의견이 많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여 위원장은 "당심 민심 반영 비율에 관해 갑론을박이 있었다"며 "총선 결과를 생각해서 민심을 많이 반영하자는 의견이 있었고, 당심 100%에서 민심을 30%, 50% 반영하는 건 당을 혼란스럽게 할 수 있는 것 아니냐는 의견도 있어 어제 결정을 안 한 게 굉장히 잘했다 싶은 생각이 든다"고 회의 분위기를 전했다. 다만 현행 '당원 투표 100%'를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은 없었던 것으로 전해지면서 전대에서 민심은 어느 정도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
또 당내 관심사인 현행 단일 지도 체제 개편 역시 좀 더 신중해야 한다는 분위기로 바뀐 것으로 알려졌다. 여 위원장은 "(전날 첫 회의에서는) 단일 지도 체제, 집단 지도 체제, 절충형 혼합형 지도 체제 등 3가지 안에 대해 논의하면 결론이 날 것 같은 (분위기였는데 오늘은) '지금 지도체제 개편을 할 땐가' 의문을 제기하는 분들이 많았다"고 밝혔다. 이어 "갑자기 전당대회를 앞두고 지명된 당헌·당규개정특위 위원들이 지도체제까지 거론하고 다른 안을 내는 것은 특위의 권한 범위를 넘어서는 것 아닌가 라는 의견들이 많았다"고 했다.
한편 이날 국민의힘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은 원외 당협위원장들에게 2인 지도체제(절충형 지도체제)에 관해 의견을 수렴해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2인 지도체제는 당 대표와 최고위원 경선을 따로 진행하되, 당대표 출마자 중 2위가 수석 최고위원을 맡는 '하이브리드형'(절충형) 체제다. 서정혁기자 seo1900@yeongnam.com

서정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