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원식 국회의장이 17일 국회에서 제헌절 행사에 앞서 한덕수 국무총리와 조희대 대법원장, 이종석 헌법재판소장, 노태악 중앙선거관리위원장, 최재해 감사원장 등과 환담하고 있다. 연합뉴스 |
우원식 국회의장이 17일 제헌절을 맞아 여야 정치권과 윤석열 대통령을 향해 "2026년 지방선거 때 국민 투표를 하는 것을 목표로 개헌을 추진하자"고 제안했다.
국회는 이날 대한민국 헌법의 제정을 기념하기 위해 국회의사당 본관 중앙홀에서 '제76주년 제헌절' 행사를 개최했다.
우 의장은 "22대 국회는 개헌을 성사시키는 국회로 나아가겠다"며 "앞으로 2년 동안은 큰 선거가 없다. 충분히 논의할 수 있는 시간이다. 개헌을 안 하겠다고 작정한 것이 아니라면 본격적인 대선 국면으로 들어가기 전에 마무리하는 것이 맞다"고 말했다.
또 2026년 지방선거 전 개헌을 촉구하며 "헌법개정특별위원회부터 구성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개헌의 폭과 적용 시기에 대해선 여러 의견이 있다"며 "원포인트 개헌, 부분 개헌, 전면 개헌 또 즉각 적용, 차기 적용, 총선과 대선이 일치하는 32년 적용 다 열어놓고 유연하게 할 수 있는 만큼 합의하는 만큼 하자"고 촉구했다.
우 의장은 "이른 시일 안에 국회의장 직속 개헌자문위원회도 발족시켜 국회 개헌특위가 논의를 본격화할 수 있는 준비를 시작하겠다"며 "대통령과 입법부 대표가 직접 만나 폭넓은 의견을 교환한다면 개헌의 실현 가능성이 훨씬 커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정대철 대한민국 헌정회장도 축사에서 "정치권에서 개헌 논의를 본격화해 줄 것을 제안한다"며 "원포인트 개헌이 가능하도록 개헌 절차의 연성화를 요청한다. 현행헌법상 개헌 과정에 반드시 거쳐야 하는 국민 투표를 생략해도 좋을 것 같다"고 했다. 정 회장은 "국회는 탄핵과 특검을 전가의 보도처럼 휘두르고 있다. 대통령은 법률안 거부권으로 맞대응한다"며 "국회 다수파도 더 이상 반대를 위한 반대가 아니라 국정의 핵심 축으로서 책임과 역할을 다해야 한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윤 대통령에게 개헌 대화를 공식 제안한 우 의장은 국민의힘 추경호·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 조희대 대법원장, 이종석 헌재 소장, 한덕수 총리 등이 참석한 사전환담에서 "최근 너무 갈등이 심해서 개원식도 채 못하고 제헌절을 맞이하는 국회의장으로서 죄송스럽단 말씀을 전한다"고 사과했다.
서정혁기자 seo1900@yeongnam.com

서정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