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27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자본시장 관계자와의 현장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의정갈등'을 두고 각계각층의 우려가 계속되자 국민의힘에서 대안 마련을 촉구하며 사실상 정부와 대통령실을 압박하고 있다. 다만 대통령실은 기존 입장을 고수하면서 당·정이 의료대란 출구전략과 해법을 찾지 못하는 모양새다.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는 27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의정 갈등과 관련, "국민이 원하는 의료개혁의 본질과 동력을 잃지 않으면서도 지금의 상황에 대한 국민 걱정과 우려를 경감시킬 수 있는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이 제 생각"이라고 밝혔다. 여러 가지 의견을 정부와 나눴다고 밝힌 한 대표는 "논의 단계라서 상세하게 말씀드리는 것은 적절치 않은 것 같다"고 했다. 앞서 국민의힘은 의정 갈등 사태 해소를 위해 지난 25일 고위 당정협의회를 계기로 '2026학년도 의대 증원 보류'를 제안했지만, 대통령실은 사실상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국민의힘 움직임은 최근 의정 갈등을 두고 국민 우려가 커지자 이를 더는 방치해선 안된다는 위기감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 한 대표는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과 만나 비공개 면담을 하는 등 의정갈등 해결에 적극 나서고 있다. 지난 26일에는 "지금은 의료개혁 과정에서 나오는 여러 걱정들이 많이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며 "국민 건강권, 건강을 지키는 건 절대적 가치이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여러 우려에 대해서도 정부가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고 정부를 압박하기도 했다.
최근 당내에서도 윤석열 대통령의 결단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국민의힘 유승민 전 의원은 지난 24일 자신의 SNS에 "지금 가장 급한 일은 의료붕괴 사태"라며 "의료가 무너져 국민 생명이 위험에 처한 이 상황보다 지금 더 위급한 일이 어디 있느냐"고 우려했다. 안철수 의원도 지난 25일 의대 증원 논란에 대해 "죽고 사는 문제와 직결된 의료시스템의 문제를 둘러싼 의정 갈등 해소를 위해 윤 대통령이 결단해야 한다"고 촉구하기도 했다.
하지만 대통령실은 기존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대통령실은 의대 증원 보류와 관련해 2025학년도 정원은 사실상 공개된 상태로 입시 준비생과 학부모의 입장을 고려했을 때 수정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정치권에선 윤 대통령과 국민의힘 지도부가 30일 만찬 회동을 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서정혁기자 seo1900@yeongnam.com

서정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