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민생회복 지원금(소비쿠폰)이 21일부터 지급된다. 총12조1천709억원의 나랏돈이 10월 중순까지 2차례에 걸쳐 살포된다. 앞서 더불어민주당은 민생지원금을 포함해 32조원에 달하는 2차추경예산안을 지난 4일 단독으로 통과시켰다. 국민 1인당 15만~55만원에 달하는 지원금을 놓고 '이재명 대통령 당선 축하금'이란 비판도 있다.
골목상권이 어렵고, 서민경제가 핍박한 점은 누구나 인정한다. 내수 소비를 진작하고 침체된 경제에 마중물 역할을 할 추경도 필요하다. 문제는 한국경제가 마냥 이런 식으로 돈을 뿌려서 지탱될 수는 없다는 점이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야당 간사인 국민의힘 박수영 의원이 최근 밝힌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국가부채는 민주당 정부가 주장하듯이 만만히 볼 수치가 아니다. 이미 빚더미에 올랐다. 우리 정부재정은 수년 째 지출이 세입을 초과한다. 이번 2차추경도 빚을 내 꾸린다. 추경까지 포함하면 국가 채무비율은 GDP(국내총생산) 대비 49.1%로 50%에 육박한다. 통계 변수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10년전 30%대에서 문재인 정권 코로나 팬데믹을 거치며 급증했다. 더구나 지방정부, 공공기관, 군인·공무원 연금 부채까지 합치면 국가 부채율은 무려 124%에 달한다. 위기의 수준을 이미 넘고 있다.
돈을 살포하는 방식은 경제의 기초체력을 끌어올릴 수 없다. 베네주엘라나 과거 유럽의 특정 나라처럼 국가파산에 이르지는 않더라도 빚을 내서 나라경제를 꾸리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 분배도 성장이 받쳐야 가능하다. 말(馬)이 마차를 끌지, 마차가 말을 끌고 갈 수는 없는 법이다. 한국경제는 수출 비중이 내수에 비해 훨씬 크다. 이재명 정권은 '돈을 뿌리는 방식의 경기 부흥책'을 이번 한번 만으로 그쳐야 한다.

논설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