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조성하려는 제2국가산업단지가 최근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 달성군 화원읍 일대 255만㎡ 부지에 국비 1조8천억원이 투입되는 국책사업이 추진되는 것이니, 대구 발전에 큰 도움이 될 일이다. 제2국가산단에는 첨단기업이 입주하고 근로자를 위한 아파트도 들어설 것이다. 산단의 준공 목표 연도는 2030년이다.
2030년은 대구경북통합신공항 개항, 대구염색산업단지 이전의 목표 연도이기도 하다. 대구 군부대 이전은 2030년에서 2031년으로 한해 늦춰졌다. 이들 사업은 후적지 개발을 전제로 한다. 현 대구공항, 군부대, 염색산단 부지위에 제2국가산단처럼 기업을 유치하고, 필요하다면 아파트도 지어야 한다. 그런데 후적지 개발은 대구시가 사업 주체다. 대구시가 주도하는 사업은 국책사업보다 어렵다. 정부사업인 제1국가산단은 내년말에 사업이 완료되지만 분양률이 77%인 반면, 대구시가 사업주체인 금호워터폴리스는 올해말 준공되는데도 분양률은 49.5%에 불과한 게 단적인 예다. 대구공항의 후적지 개발은 수익성이 담보되지 않아 민간사업자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제2국가산단 조성은 후적지 개발사업의 수익성을 더욱 떨어트리는 결과를 초래한다.
현실적인 대응방법은 대구시가 후적지 개발사업이 처한 상황을 시민들에게 솔직하게 알려 사업 시기를 조정하는 것이다. 대구경북통합신공항 건설을 국책사업으로 해달라는 대구시의 요구도 다른 후적지 개발사업을 조율했을 때나 정부가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후적지 주민들의 이해관계가 엇갈려 의견 조율하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지금 상태로는 모든 것을 이루려다 전부 실패하는 우(愚)를 범할 수 있다.

논설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