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새정부 국정과제가 발표된 가운데 경북도와 대구시가 정부의 5극3특 국가균형성장전략 추진에 조응해 '대구경북 공동협력 TF'를 구성했다. 한동안 소원했던 대구시와 경북도가 지역발전을 위해 다시 손을 맞잡은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다만 이재명 정부의 출범이 두 달 남짓 지나고, 그 사이 국정기획위가 새정부 국정과제를 선별해 왔는데, 그 결과를 발표한 날에 비로소 TF를 발족한 것은 아무리 생각해도 때늦은 감이 없지 않다. 일찍부터 공동 전선을 펼쳐 TK 현안을 국정과제에 포함하는 데 집중했더라면 상황이 더 나았을 것이다. 부산시는 일찌감치 '국정과제 대응 전략기획단'을 구성, 국정과제 채택에 올인해 왔다. 목이 말라야 우물을 판다는 심정으로, 늦은 만큼 서둘러 공동협력의 성과를 낼 수밖에 없다.
정부는 수도권 일극 중심의 성장전략을 탈피, '5극3특' 의 국가균형성장전략을 속도감 있게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혀왔다. 대구시와 경북도의 '공동협력 TF'는 이에 대한 대응기구인 셈이다. 그런데 공동TF의 과제을 보면 '5극3특'에 국한하지 않고 대구경북 현안이 총망라돼 있다. 첫 회의에서 선정한 '우선 논의' 대상에만 신공항, 순환철도망, 영일만항, 달빛철도, 미래모빌리티, AI로봇, 이차전지, 바이오, 포스트 APEC, 초광역 관광그리드, 탄소중립 등 무려 21개 과제나 포함됐다.
급한 게 있다. 같은 날 국정기획위가 발표한 국정과제를 면밀히 분석, 공동 대응 전략을 마련하고 후속 실행을 위한 협의와 조치를 속도감 있게 추진해야 한다. 대구경북의 주요 정책과 사업이 새 정부의 주요 정책으로 협력·추진되면 금상첨화다. 지역의 성공이 곧 국가의 성장으로 이어지는 시너지 전략이다.

논설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