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경북도·도교육청 폐교활용, 소멸위기 극복 단초되길

  • 논설실
  • |
  • 입력 2025-08-15 14:44  |  수정 2025-08-15 14:44  |  발행일 2025-08-15

경북은 15개 시·군이 젊은층 유출과 출생아 급감에 따른 인구감소지역이다. 이에 따른 두드러진 현상이 초등학교 폐교다. 경북도교육청에 따르면 1982년 이후 올해 3월까지 폐교된 곳은 모두 732곳이나 된다. 이 가운데 68%는 매각됐지만, 나머지는 교육청이 보유하고 있다. 이중 58곳은 방치되어 있다. 폐교는 인구감소의 결과이자 원인이다. 귀농한 세대가 자녀교육을 위해 폐교지역을 다시 떠나고 지역소멸은 가속된다.


인구감소와 폐교를 막기 위해 지역사회 구심점이었던 과거 학교의 역할을 되살리는 방안이 눈길을 끈다. 경북교육청은 폐교를 체험관 등 교육시설로 전환하거나 주민공동체와 협력해 공모사업장으로 탈바꿈시키는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영양군 신암분교는 특용작물재배와 마을체육시설로, 구미 해평초 향산분교는 스마트팜과 평생학습공간, 포항 이가초는 어촌체험장, 경주 의곡초 일부 분교는 유정란 생산시설로 재탄생했다. 경북도는 농업 근로자를 위한 기숙사 건립에 폐교를 활용키로 하고, 농식품부 공모사업으로 도내 6개 시·군에 기숙사를 조성했거나 설립 중이다.


폐교를 지역문화·예술·경제 거점으로 바꾸는 작업이 탄력을 받으려면 정부공모사업을 넘어 민간기업과의 협업이 필요하다. 캠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오지'로 분류되는 폐교지역은 오히려 힐링을 즐길 수 있는 장소다. 폐교를 무상임대하고 민간기업이 시설을 개선한다면 훌륭한 숙박 놀이공간도 가능하다. 지역주민과 함께 체험프로그램까지 도입하면 지역경제도 살리고 인구도 유입하는 1석3조의 효과도 거둘 수 있다.



기자 이미지

논설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