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도 철도 사고 현장 사진. 청도소방서 제공.
또 인재(人災)였다. 이번엔 경북 청도 경부선철로 곡선구간에서다. 폭염 속에 선로점검을 하던 작업자 7명이 무궁화열차에 치여 참변을 당했다. 2명이 숨지고 5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이번 사고는 안전관리 부실과 대피가 어려웠던 현장 상황이 겹치며 빚어진 '철로 참극'으로 기록될 전망이다. 3면에 관련기사
사고는 19일 오전 10시52분쯤 경부선 청도군 화양읍 삼신리 구간에서 발생했다. 동대구에서 진주로 향하던 제1903호 무궁화호 열차가 선로 주변을 이동하던 작업자 7명을 덮쳤다. 숨진 2명은 모두 구조물 안전점검을 전문으로 하는 협력업체 직원이었다. 코레일 직원 1명을 포함한 부상자들은 경주·경산·안동 등지의 병원으로 이송돼 치료 중이다. 사고 열차 탑승객 89명은 피해를 입지 않았다. 다만 사고 수습을 위해 열차는 한동안 멈췄고, 운행은 약 두 시간 뒤인 낮 12시44분쯤 재개됐다. 이로 인해 열차 운행 지연이 발생해 이용객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
작업자들은 최근 청도지역 폭우로 철도 시설물 피해 여부를 점검하기 위해 현장에 나섰다. 이들은 사고 발생 7분 전인 오전 10시45분쯤 인근 남성현역 역장의 승인을 받고 선로에 진입했다. 하지만 열차 운행을 일시 중단하는 '차단조치'는 이뤄지지 않았다. 절차상 위험지역 2m 바깥에서 작업이 예정돼 있었다는 이유에서다. 코레일 측은 "작업이 위험지역 바깥에서 이뤄질 예정이어서 차단조치를 하지 않았다"고 했다.
반면 작업자들은 이동 중에 좁아지는 비탈면을 피해 선로 위로 움직일 수밖에 없었고, 결국 뒤따라오던 열차와 충돌했다. '규정'을 이유로 현장 상황을 간과한 '관리 부실'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작업자에게 지급된 '열차접근경보 앱'과 무전기도 사고를 막지 못했다. 사고 지점은 곡선 구간으로 시야 확보가 어렵고 나무가 많아 열차 운행 여부를 미리 알기 어려운 구간으로 파악됐다.
10년 전에도 비슷한 사고가 있었다. 2015년 동대구역 인근에서 작업자 2명이 KTX 열차에 치여 숨졌다. 당시에도 곡선 구간에서 열차를 발견하지 못한 게 사고의 주 원인이었다. 이 같은 구조적 문제는 결국 청도 참사로 이어졌다. 부상자 성모(60대)씨는 "열차접근 경보가 울리긴 했지만 대피할 시간도 공간도 없었다"고 취재진에 말했다.
사고 직후 국토교통부와 고용노동부는 대응팀을 투입하고 사고 원인 조사와 작업중지 명령을 내렸다. 노동부는 산업안전보건법과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를 확인 중이다. 경찰은 열차 블랙박스를 확보해 철도안전법 위반 여부 등 책임 소재를 조사하고 있다. 국토부 측은 "철도안전법령 위반사항이 있었는지 철저히 조사하고, 무관용 원칙에 따라 엄중 조치하겠다"고 했다.

박영민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