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가 대구를 비롯한 지방 주요 도시를 'AI 전환(AX) 거점도시'로 집중 육성하겠다고 밝혀 주목된다. 대구는 이미 일찌감치 국가기관인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을 유치해 AI와 로봇시대를 준비해 온 터라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는 지난달 30일 국가균형성장전략의 핵심으로 대구를 비롯한 4대 권역에 AI 혁신거점을 조성키로 했다. 특히 지역별 특화산업의 AI전환을 겨냥한 대규모 연구·실증 거점을 구축키로 했다. AI R&D(연구·개발)에 몰입할 대구 테크허브(TechHub)를 목표로 한다.
중소벤처기업부도 1일 '2025년 지역 주도형 AI 대전환' 사업에 참여할 5개 지역을 선정했다. 대구를 비롯해 울산시, 경남도, 전남도, 제주도가 최종 선정됐다. AI전환이 뒤처진 지방 중소기업을 집중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대구의 주력 산업인 자동차부품을 중심으로 AI 접목 혁신사례를 확산하는데 선도적 역할을 한다. 컨트롤타워로 동대구벤처밸리 내 AI혁신센터도 들어선다.
이재명 대통령은 앞서 집권 5년의 청사진으로 '인공지능 세계 3대 강국' 진입 제시한 바 있다. 모든 제조 현장에 AI를 접목하고 이를 위해 국민성장펀드 30조원을 투자키로 했다. 인구절벽에 직면한 한국으로서는 AI 대전환만이 성장하락을 반전시킬 유일한 돌파구란 인식이 자리한다. AI는 세계가 앞다퉈 경쟁하는 절대적 분야다. 특히 개별 국가의 AI통제권과 빅데이터 주권을 보장할 이른바 '소버린(Sovereign) AI 개념'도 부상하고 있다. 대구는 이같은 미래 과학기술의 패러다임속에 도시전체를 띄워 올려야한다. 저성장의 늪에 빠진 지방도시가 일어설 마지막 기회인지도 모른다. AI전환은 피할 수 없는 숙명이 되고 있다.

논설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