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내년 봉화, ‘변화의 속도’가 성과를 결정한다

  • 황준오
  • |
  • 입력 2025-11-27 06:00  |  발행일 2025-11-26
봉화 황준오 기자.

박현국 봉화군수가 지난 19일 봉화군의회 정례회에서 내년도 군정 방향을 제시했다. 양수발전소 예타 선정, K-베트남 밸리 기반 구축 등 성과를 언급했지만, 중요한 것은 계획이 아니라 실행의 속도다. 내년 봉화군정의 성패는 정책이 실제 변화로 이어지는지에 달려 있다.


박 군수가 제시한 6대 군정 방향은 모두 장기 과제다. 글로벌 문화교류, 농업 경쟁력 강화, 관광도시 도약, 포용복지, 산림·치유 융합도시, 지역균형발전 등은 방향성은 분명하지만 속도가 담보되지 않으면 군민 체감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특히 주목할 대목은 'K-베트남 밸리' 국가사업화 추진이다. 봉화의 문화적 자산을 글로벌 콘텐츠로 확장하려는 시도는 지역의 정체성을 국제 교류로 승화시키려는 야심 찬 구상이다. 그러나 사업이 일회성 이벤트로 그치지 않으려면, 베트남과 유기적으로 결합된 지속 가능한 지역경제 모델로 자리 잡아야 한다.


농업정책 역시 변곡점에 있다. 스마트팜과 아열대 작물 개발, 청년농 육성은 미래지향적이지만, 농촌 고령화와 인력난이라는 현실적 한계를 함께 극복해야 한다. 외국인 근로자 근무환경 개선, 농업용수 인프라 확충 등은 '현장 체감형 정책'으로 구체화될 때 진정한 의미를 가진다.


관광도시로의 도약 또한 기대와 과제가 공존한다. 은어·송이 축제의 개편, 체류형 관광시설 확충, 펫빌리지와 산타마을 숙박시설 완공은 봉화의 관광 패러다임을 전환할 수 있는 동력이다. 그러나 관광산업의 핵심은 인프라보다 콘텐츠의 지속성이다. 계절과 연령, 취향을 아우르는 체험형 관광 프로그램이 필요한 시점이다.


산림·치유 산업은 봉화의 미래 산업이자 지역 브랜드다. 국립산림안전원 유치, 내륙형 치유특구 지정 등은 봉화가 '자연 속의 회복 도시'로 자리매김할 기회다. 다만, 전국 지자체가 유사한 치유산업에 뛰어드는 만큼, 봉화만의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다.


내년 예산안은 5천800억원으로 전년 대비 180억원 늘었다. 농업 경쟁력 강화와 복지, 재난방지, 지역개발에 균형 있게 배분됐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숫자가 아니라 효율적 집행과 결과의 가시화다. 박 군수가 강조한 '선심성 예산 배제'가 현실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가 군정 신뢰의 기준이 될 것이다.


봉화는 지금 '계획의 봉화'에서 '실행의 봉화'로 옮겨가야 할 시점이다. 수년간 쌓아온 정책의 토대가 내년에 실제로 군민의 일상에 스며들 수 있을지, 그 여부가 봉화의 다음 10년을 결정한다. 변화의 방향은 이미 설정됐다. 이제는 그 변화를 얼마나 속도감 있고 실질적으로 추진하느냐가 관건이다. 내년, 봉화의 진짜 시험대는 행정의 약속을 현실로 만드는 과정일 것이다.



기자 이미지

황준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