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래모빌리티 국가산단 후보지에 선정된 대구가 미래차 생산 기반 확대로 부품 수요를 늘리려면 완성차 기업 유치가 필수라는 게 지역 경제계의 지적이 나온다. 지난해 10월 대구 엑스코에서 열린 '2022 대구 국제 미래모빌리티엑스포'에 참가한 현대자동차 부스에 아이오닉6가 전시돼 있다. 〈영남일보 DB〉 |
![]() |
충청권에선 천안과 홍성이 국가산단 후보지로 추가 선정됐다. 천안에는 미래모빌리티를 육성할 417만㎡(126만평)의 부지가, 홍성 내포신도시에는 236만㎡(71만평)의 부지가 각각 확보됐다. 홍성은 수소·미래차와 2차전지산업을 집중 육성하겠다고 벼르고 있다. 천안은 삼성의 지원을 받아 배터리 기술 고도화 작업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삼성SDI는 차세대 배터리 기술, 배터리 핵심소재 연구 및 양산 체제를 강화하기 위해 천안사업장을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의 '마더 팩토리'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전고체 배터리는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에 비해 용량이 크고 안전해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고 있다.
호남권 광주는 다크호스다. 광주는 338만㎡(102만평) 규모의 미래차 국가산단을 갖게 됐다. 전기차·수소차·자율주행차·배터리 등 미래차 산업을 집적화해 고부가가치 자동차산업을 육성할 계획이다. 완성차 생산공장 두 곳을 토대로 미래차 핵심부품 국산화를 추진한다. R&D부터 완성차 제조까지 이뤄지는 '광주 미래차 원스톱 클러스터' 구축에 방점이 찍혀 있다. 부품기업들이 미래차산업 변화에 맞춰 사업을 재편한다면 완성차와의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는 구조다.
반면 대구는 330만㎡(100만평)의 미래차 생태계를 구축한다. 이미 대구는 국내 전기차 모터의 80%를 생산할 정도로 탄탄한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2차전지는 최근 테슬라와 양극재 직거래 계약을 맺은 엘앤에프가 건재하다. 하지만 내연차 전용 제품에 매출을 의존하는 부품기업이 너무 많다. 자체 연구역량이 미비해 미래차 부품 생산 전환에 어려움을 겪는 영세 소기업이 대부분이다. 진출 분야 등 방향성 설정도 쉽지 않다. 수요처와의 협력 없이는 독자적 사업 전환이 불가능하다.
특히 미래차 생산 기반 확대로 부품 수요를 늘리려면 완성차와 부품사 간 협력은 필수다. 이에 지역 차부품 업계에선 제2국가산단을 글로벌 미래모빌리티 산업 거점으로 육성하려면 완성차 업체 유치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완성차 공장이 들어서면 지역 미래차 부품산업 생태계에도 '낙수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서다. 업계 관계자는 "대구는 차부품 산업에 강하고 대구시도 자율주행이나 도심항공교통(UAM) 같은 미래형 모빌리티 산업 육성에 사활을 걸고 있다"며 "대구만의 차별화한 산업으로 키우려면 완성차 업체 유치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지역에 완성차 공장은 없지만 부품산업은 아주 탄탄하다"며 "아직 장담은 못하지만 완성차 공장을 대구에 유치하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했다.
손선우기자 sunwoo@yeongnam.com
손선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