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대인플레이션 변동 추이. |
소비자들의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상승률 전망치인 '기대 인플레이션율'이 1년 2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까지 내려갔다. 소비자 물가상승 둔화세와 소비회복 및 수출부진 완화기대감이 함께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결과를 보면 7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3.3%다. 이는 전달보다 0.2%포인트 내린 것으로 지난해 5월(3.3%) 이후 가장 낮다.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지난 2월 4.0%에서 3월 3.9%, 4월 3.7%, 5월 3.5%로 3개월 연속 하락한 뒤 6월(3.5%)에 주춤하다가 다시 내렸다.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이 2%대까지 내린 것이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하반기 공공요금 인상, 집중호우에 따른 농산물 가격 상승 등이 우려돼 하락 흐름이 계속 이어질지는 지켜봐야하는 상황이다.
소비자들의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도 커졌다.
7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03.2로 전달(100.7)보다 2.5 포인트 상승했다.
5개월 연속 오름세일 뿐 아니라, 지난달 13개월 만에 처음으로 100을 넘긴 이후 두 달째 100을 웃돌았다.
전달과 비교해 CCSI를 구성하는 6개 지수 중 소비지출전망을 제외한 5개 지수가 모두 상승했다.
현재경기판단(75)과 향후 경기전망(84)은 모두 6포인트씩 올랐고, 현재생활형편(91)은 2포인트 상승했다.
생활형편전망(94)과 가계수입전망(99)은 각각 1포인트 씩 상승했다. 소비지출전망(113)만 전월과 동일했다.
집값 전망치는 지난해 11월이후 8개 연속 상승세다. 주택가격전망지수는 2포인트 오른 102를 기록했다. 1년 뒤 집값 상승을 예상하는 소비자 비중이 하락을 점치는 이들보다 커졌다는 의미다.
금리전망지수는 한달새 7포인트나 올랐다. 금리 상승 전망의 비중이 크게 늘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은이 4회 연속 기준금리는 동결했지만 미국의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 시장금리 상승세 등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번 조사는 이달 11~18일 전국 2천500가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최수경기자 justone@yeongnam.com

최수경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