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르포]“한여름 땡볕 속 오아시스”…대구 곳곳 자리 잡은 ‘폭염 쉼터 버스’

  • 구경모(대구)
  • |
  • 입력 2025-08-19 18:26  |  수정 2025-08-19 20:53  |  발행일 2025-08-19
장사 중 선풍기도 꺼야 했던 상인들, 에어컨 버스에서 안도의 한숨
봉사자들, 생수와 온열질환 예방법 제공하며 안전망 역할 수행
9월까지 전통시장 10곳, 공원 10곳에 배치... 대구시의 폭염 대응



19일 오후 1시쯤 대구 달서구 서남신시장 앞에 배치된 '이동형 여름쉼터 버스'를 이용중인 시민들. 구경모기자

19일 오후 1시쯤 대구 달서구 서남신시장 앞에 배치된 '이동형 여름쉼터 버스'를 이용중인 시민들. 구경모기자

19일 오후 1시쯤 대구 달서구 서남신시장 앞에 배치된 '이동형 여름쉼터 버스'에서 달서구 자원봉사센터 소속 배선순(57)씨가 시민들에게 온열질환 예방책을 설명하고 있다. 구경모기자

19일 오후 1시쯤 대구 달서구 서남신시장 앞에 배치된 '이동형 여름쉼터 버스'에서 달서구 자원봉사센터 소속 배선순(57)씨가 시민들에게 온열질환 예방책을 설명하고 있다. 구경모기자

19일 오후 2시쯤 대구 중구 경상감영 공원 앞에 배치된 '이동형 여름쉼터 버스'와 아이스 박스. 구경모기자

19일 오후 2시쯤 대구 중구 경상감영 공원 앞에 배치된 '이동형 여름쉼터 버스'와 아이스 박스. 구경모기자

한낮 체감온도가 35℃를 웃돈 19일 오후 1시쯤 대구 달서구 서남신시장 입구 앞. 대형 버스 한 대가 멈춰 섰다. 곧장 버스 앞엔 '찾아가는 이동형 여름 쉼터 버스'란 큼지막한 문구가 새겨진 배너가 세워졌다. 얼려 놓은 생수가 담긴 아이스박스도 버스 인근 한 켠에 있었다. 버스 안은 에어컨 바람이 시원하게 뿜어져 나왔다.


몇 분이 지났을까. 시장 상인들과 시민들이 버스 안으로 하나둘 올라왔다. 생수를 한 손에 쥔 채, 저마다 버스 좌석에 앉아 한증막 더위를 식혔다. 이들은 버스 안에 모여 대화를 나누며 휴식시간을 가졌다.


채소 좌판을 지키다 쉼터 버스에 탑승한 송진옥(65·여·달서구)씨는 "장사하다 보면 선풍기도 제대로 못 튼다. 이렇게 버스 안에 들어와 에어컨 바람을 쐬니 좀 살 것 같다"며 "시장 인근 좌판 상인들은 한여름 땡볕에 속수무책으로 노출됐는데 쉼터 버스 덕분에 이제 한시름 놨다"고 했다.


버스 내부엔 각 지자체 자원봉사센터에서 나온 봉사자 2명이 상주했다. 대구시자원봉사센터를 통해 모집된 이들은 생수를 건네며 온열질환 예방법을 안내했다.


대구 달서구자원봉사센터 소속 배선순(57·여·달서구)씨는 "재난급 폭염 속에 실시간 노출된 상인들과 현장 근무자들의 반응이 무척 좋다"며 "장기화되고 있는 폭염은 건강에 큰 위협이 되는 만큼, 남은 여름기간 쉼터 버스에서 편히 휴식을 취하기 바란다"고 했다.


같은 날 오후 2시쯤 찾은 대구 중구 경상감영공원에서도 '이동형 여름 쉼터 버스'를 볼 수 있었다. 당초 대구시는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에 쉼터 버스를 배치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주변 여건 문제로 장소를 변경했다. 쉼터 버스를 이용한 여행객 김태목(32·충남 천안)씨는 "카페 투어를 위해 대구를 찾았다가, 이런 쉼터 버스가 있다는 걸 알고 얼른 가방을 벗어둔 채 잽싸게 자리에 앉았다. 에어컨을 켠 가게에 장시간 있으면 눈치가 보이는데, 여긴 그런 부담이 없다"며 "가방을 메고 걸어 다니다가 쉼터를 발견했을 때는 마치 오아시스를 찾은 기분이었다"고 했다.


대구 중구자원봉사센터 소속 방혜린(25·여·중구)씨는 "경상감영공원의 경우 무료함을 달래러 오는 노인들부터 관광객들까지 다양한 사람들이 쉼터를 찾고 있다"며 "특히 노년층은 날이 더워도 사회적 고립감을 해소하기 위해 외출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이들은 폭염을 피해 안전하게 머물 수 있는 공간이 생기자 무척 좋아한다"고 말했다.


올해 폭염이 9월 중순까지 장기화될 것이라는 기상청의 전망에 따라 대구시는 지난 17일부터 오는 9월 30일까지 폭염 취약계층이 주로 찾는 장소를 중심으로 '이동형 여름쉼터 버스'를 운영하고 있다. 전통시장 10곳, 공원 10곳 등 총 20곳에 배치된다. 매일 오전 9시30분부터 오후 5시30분까지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대구시 측은 "전통시장 상인, 노점 어르신, 배달 기사 등 폭염에 가장 취약한 직군이 자주 오가는 생활공간 중심으로 쉼터를 마련했다"며 "단순한 시원한 공간을 넘어 시민 안전을 지키는 '이동형 안전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기자 이미지

구경모(대구)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