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도의회 산불대책특별위원회가 19일 경북도 마을주택재창조사업단으로부터 산불피해 마을 복구 기본 구상을 보고 받고 있다.<경북도의회 제공>
경북도의회 산불대책특별위원회는 19일 경북도 마을주택재창조사업단으로부터 '산불피해 마을 복구 기본구상'에 대한 보고를 받고 주민 맞춤형 복구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이번 보고는 도내 산불로 큰 피해를 입은 5개 시·군 마을을 대상으로 재건 방향과 공동체 회복, 생활 기반 복구, 소득 창출 방안, 공동체 공간 구성 등을 망라해 마을 재창조의 밑그림을 제시했다. 또한 지구별 실시설계 반영 방안까지 포함돼 단순한 시설 복구를 넘어선 장기적 관점이 담겼다.
현재 사업단이 추진 중인 용역은 오는 9월 15일까지 진행되며, 총사업비 1억 5천800만 원 규모로 산불 피해 마을 8곳을 대상으로 한다. 이날 보고에서는 각 마을별 복구 구상안 조감도와 주민 설명회, 전시회 개최 계획 등 그간의 추진 현황과 향후 일정도 함께 공개됐다.
보고를 청취한 위원들은 주민 의견을 실질적으로 반영하는 구체적 계획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피해 주민들이 생활 기반을 빠르게 회복할 수 있도록 현장 중심의 복구 전략을 세우고, 도민 전시와 홍보를 통해 공감대를 확산시킬 것을 주문했다. 산불 피해의 심각성과 복구 방향을 도민과 공유하는 과정이 반드시 병행돼야 한다는 것이다.
최병준 위원장은 "이번 기본구상과 전시계획은 단순한 복구가 아니라 지속 가능한 마을 재창조의 출발점"이라며, "도의회 산불특위는 집행부와 긴밀히 협력해 피해 주민의 목소리가 담긴 항구적 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경북도는 지난해 연이은 산불로 주민들의 삶의 터전이 큰 타격을 입자 장기적 복구 모델 마련에 착수했다. 단기 지원을 넘어 생활·경제·공동체 회복까지 아우르는 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이번 구상이 갖는 의미는 크다. 특히 재해를 단순한 피해 복구의 차원이 아니라 마을 재창조와 공동체 재건의 기회로 승화시키겠다는 의지가 반영됐다.
산불 피해지 주민들은 실질적이고 지속 가능한 복구를 바라고 있다. 이번 기본구상이 현장의 요구와 도민 공감 속에 구체화될 경우, 경북형 재해 극복 모델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피재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