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청 동인청사 전경. 영남일보DB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대한 국회 심의가 본격화되면서 이른바 '국회의 시간'이 시작됐다. 대구시도 국비확보를 위한 총력전에 나섰다.
19일 대구시와 정치권 등에 따르면 지난 17일부터 국회에서 내년도 정부 예산안과 관련 조정소위원회의 심사가 열리고 있다. 내년도 예산안은 이달 말까지 예결위 감액 및 증액 심사를 거쳐 다음 달 2일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대구시는 예산안이 확정될 때까지 국회에 현장대응팀(상황실)을 운영한다. 시청 간부들도 잇따라 국회를 찾고 있다. 지난 18일엔 오준혁 대구시 기획조정실장이 국회를 방문, 여러 국회의원실 등을 돌면서 국비 확보 협조를 요청했다.
대구시는 지난 8월말 발표된 지역의 내년도 정부 예산안(4조2천754억원·투자사업 기준)보다 850억원 이상 늘어난 4조3천600억원(국비)을 확보 목표로 잡았다. 영남일보가 대구시의 '국회 증액 희망 주요 국비사업'을 확인한 결과, 시는 △동대구벤처밸리 인공지능(AI) 테크포트 구축 △디지털트윈 3D프린팅 의료공동제조소 실증 △산업 AX 연구원 설립 △뇌 오가노이드 상용화 플랫폼 구축 △UAM 핵심부품 신기술 지원체계 구축 △제조AI데이터 밸류체인 구축 △휴머노이드 로봇 안전인증센터 구축 △미래모빌리티 AI 소프트웨어 검증 시스템 구축 사업 등에서 국비 증액을 희망하고 있다. △산불방지 대책 △지하시설물 DB 정확도 개선 △BIT 융합 혁신허브 조성 △뮤지컬 콘텐츠 캠퍼스 아카데미 △대구 특화 출판산업 육성지원 등에도 국비 증액이 필요한 것으로 시는 보고 있다.
현재 대구시의 국비확보를 위한 상황실 캠프는 예결위에 소속된 김기웅 의원실에 마련된 상태다. 대구시 관계자는 "국비 확보 작업은 '끝날 때까지 끝나는 게' 아니다. 변수가 많아 끝까지 긴장을 늦춰선 안된다"며 "대구시의 기존 정부 예산안 유지는 물론 지역 미래를 위한 주요 사업의 추가 국비 확보를 위해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노진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