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한미 정상회담을 하며 함께 웃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의 첫 한미정상회담은 외신들까지 호평할 정도로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국익중심 실용외교'의 최대 시험대로 여겨지던 한미 정상의 첫 만남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직접 이 대통령에게 '위대한 지도자'라고 언급할 정도로 두 정상이 친밀한 관계를 형성한 것이다.
이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열린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우리 정부에게 까다로운 의제였던 농산물 추가 개방과 주한미군 감축 등의 논의는 회담 중에 나오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특히 대구경북(TK) 입장에선 트럼프 대통령의 경주에서 개최되는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 참석에 대해 긍정적 입장을 받아냈다. 또, APEC을 계기로 북한 김정은 위원장과의 대화까지 거론되면서 경주가 전 세계의 주목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된 셈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한미 정상회담을 위해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에 도착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강유정 대변인은 현지 브리핑에서 "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을 올가을 열리는 APEC 정상회의에 초청했고, 가능하면 김정은 위원장과의 만남도 추진해보자고 권했다"며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매우 슬기로운 제안이라고 평가하면서 이 대통령의 제안을 여러 차례 치켜세웠다"고 밝혔다.
회담 직전 트럼프 대통령이 SNS에 글을 올려 특검 수사 등을 비판하며 분위기가 좋지 않았지만, 실제 회담에선 트럼프 대통령이 이 대통령에게 설명을 요청하고 들은 뒤 오해라고 언급하는 등 원만한 소통이 이뤄졌다.
외신들도 이날 이 대통령의 성과를 호평했다. 워싱턴포스트는 "트럼프와 한국의 새 대통령은 피살 위험에서 살아남는 등 여러 공통된 경험을 갖고 있다"면서 "이번 정상회담은 두 지도자가 첫 만남으로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기회가 됐다"고 전했다.
다만 관세 합의의 후속 협상이 남아 있는 등 양국의 주요 쟁점이 완전히 해소된 것은 아니어서 아직 평가하기는 이르다는 반론도 있다. 실제로 이날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은 "농민을 위한 시장 개척"을 언급하며 "미국에서는 시장 개방을 원한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정상회담 후에도 한미 양국의 외교·통상 실무 당국자들 사이에서는 국익을 지키기 위한 치열한 줄다리기가 계속 이어질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국내 기업들은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미국과 수십억 달러 규모의 조선업 투자펀드 조성, 362억 달러 규모의 고효율 항공기 구매, 330만t 규모의 중장기 액화천연가스(LNG) 도입 등에 합의했다.
이번 라운드테이블에는 이 대통령과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 회장, 정의선 현대차 회장, 구광모 LG 회장 등 국내 기업인 16명과 젠슨 황 엔비디아 CEO 등 미국 기업인 21명이 참석했다.

정재훈
서울정치팀장 정재훈입니다. 대통령실과 국회 여당을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