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3일 삼성 라이온즈 누적 관중이 156만9천212명을 기록했다. 사진은 지난 14일 KBO리그 최초 150만 달성 전광판 모습. <삼성 라이온즈 제공>
삼성 라이온즈가 KBO리그 흥행 중심에 섰다. 가성비를 비롯한 라팍만의 화끈한 응원 열기, 오심 없는 공정한 판정 등은 블랙홀처럼 팬들을 라팍으로 끌어당기고 있다. 더욱 반가운 것은 이같은 역대급 야구 흥행이 라팍 주변 상권 활성화는 물론, 미술관 관람객 수도 견인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역 연고의 프로스포츠가 지역 경제와 사회에 성장 엔진으로 거듭난 좋은 예다.

가족들과 함께 대구 삼성라이온즈파크를 찾는다는 이윤미씨가 아이들과 삼성 라이온즈 마스코트와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본인 제공>

올 시즌 라팍에 신설된 캠핑존에서 경기를 보는 관중들 모습. <삼성 라이온즈 제공>
◆야구는 단돈 1만6천원의 가성비 스포츠
삼성 팬 최찬경(36·대구 동구)씨는 "라팍 오는 게 즐겁습니다. 판정도 깔끔하고 응원 분위기도 좋아 계속 오고 싶습니다."
KBO리그는 2024시즌부터 ABS(자동 볼·스트라이크 판정 시스템)를 도입했고, 올해는 체크스윙 비디오 판독까지 실시했다. 지난 6월23일부터 7월2일까지 진행된 팬 설문(2천130명)에서 새로운 경기 제도로 인해 관람 빈도가 늘었다는 응답자들은 이유로 '경기 집중력과 몰입도 향상'(32.9%), '공정성 향상'(28.9%)을 꼽았다.
'가성비'도 라팍 흥행의 중요한 배경이다. 지난 4일까지 KBO리그 관중 1인당 평균 지출 입장권 금액은 1만6천715원이다. MZ세대들이 선호하는 공연, 콘서트 등 여가활동 비용에 비하면 무려 3시간 동안 야구 관람과 다양한 먹거리, 응원을 함께 즐기는 야구장은 '가성비 여가소비'의 상징으로 자리잡았다.
특별한 좌석도 라팍만의 매력이다. 올 시즌 라팍에 신설된 '캠핑존'은 최대 6명이 잔디석 상단에서 함께 관람할 수 있어 가족과 지인 단위 팬들에게 호응을 얻고 있다. 이는 다양한 연령층을 라팍으로 자연스럽게 끌어들였다는 평가다.
3살, 5살 아이들과 라팍을 찾은 이윤미(여·33·대구 수성구)씨는 "라팍에는 잔디석, 모래 놀이석처럼 아이들이 자유롭게 뛰어놀 수 있는 공간이 있다. 오래 앉아 있기 힘든 어린이들이 즐겁게 관람할 수 있다"면서 "응원가도 따라 부르기 쉬워 아이들과 함께 신나게 응원할 수 있다. 주말에 키즈카페를 찾으면 비용이 만만치 않은데, 라팍은 부모와 아이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가성비 있는 선택지"라고 했다.

대구 삼성라이온즈 파크를 찾은 관중들. <삼성 라이온즈 제공>

대구 삼성라이온즈 파크 앞에서 경기장으로 들어가는 관중들 모습. 정지윤기자 yooni@yeongnam.com
◆라팍 옆 대구미술관·대구간송미술관도 '푸른 물결'
라팍 인근에 위치한 대구미술관과 대구간송미술관을 찾는 야구팬들의 발걸음도 늘고 있다. 지역 연고 프로스포츠의 활성화가 고전과 현대를 아우르는 대구의 '시각예술 클러스터' 조성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대구미술관에 따르면, 삼성의 홈경기가 있는 주말에는 평소보다 3~5% 더 많은 관람객이 미술관을 찾고 있다.
대구미술관은 올해 정규시즌 동안 삼성 홈경기 티켓 및 시즌권 소지자에게 관람료 20% 할인 이벤트를 진행 중이다. 이런 이유로 삼성의 홈경기가 열리는 날이면 야구 유니폼을 입은 관람객을 미술관에서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여기에다 대구미술관과 수성알파시티역 사이를 왕복하는 무료 순환버스는 차량이 없는 야구팬들의 미술관 방문 부담을 덜고 있다.
대구미술관 관계자는 "미술관 운영이 끝나는 시간대(오후 6시 이후)가 되면 미술관로 일대가 삼성팬들의 파란 물결로 일렁인다"면서 "예술의 감동과 스포츠의 열정이 넘치는 미술관로와 야구전설로가 어우러져 대구만의 특별한 풍경으로 자리 잡고 있다"고 말했다.
대구간송미술관의 경우 지난 4월4일부터 지난 14일까지 총 1천323명의 관람객이 삼성라이온즈 제휴 입장권 20% 할인 혜택을 받았다. 해당 할인이 대구시민이 아닌 이들에게만 적용(대구시민은 시민할인 20%를 적용 중)됐다는 점을 감안하면 3천명 안팎의 라팍 방문자가 이 기간 대구간송미술관을 찾은 것으로 추정된다.
삼성과 LG 경기가 있었던 지난 7월5일 하루에만, 조사 기간 중 최다인 52명의 야구팬이 제휴 할인 혜택을 받고 대구간송미술관을 관람했다. 이어 6월7일(삼성-NC)·8월2일(삼성-LG) 각각 44명, 7월6일(삼성-LG) 38명 순으로 야구팬 제휴 할인 혜택이 많았다.
눈길이 가는 점은 대구간송미술관이 자체 조사한 기획전 관람객(4월30일~8월3일 기준)의 소비 형태다. 이 기간 대구간송미술관을 찾은 관람객 16만2천여 명이 총 47억1천만 원을 지역에서 소비한 것으로 집계됐다. 소비금액은 먹거리(16억 원), 숙박비(8억 원), 쇼핑비(7억7천만 원) 순으로 많아 미술관과 프로야구 흥행이 지역 경제에 적지않은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6일 오후 6시 20분쯤 대구 삼성라이온즈파크 인근 지하철역 앞에는 주문한 음식을 받으려는 야구팬들로 가득했다. 이남영기자 lny0104@yeongnam.com

지난 16일 오후 6시 20분쯤 대구 삼성라이온즈파크 인근 지하철역 앞에는 주문한 음식을 받으려는 야구팬들로 가득했다. 이남영기자 lny0104@yeongnam.com

대구삼성라이온즈파크 인근 상권인 신매광장의 한 치킨집은 야구팬들을 위한 할인 행사를 실시하고 있었다. 이남영기자 lny0104@yeongnam.com
◆삼성 경기 있는 날, 배달 건수 몇배 뛰어
라팍 인근 상권도 덩달아 활기를 띄고 있다. 지난 16일 오후 6시 20분쯤 삼성과 롯데 자이언츠 경기가 있던 탓에 라팍 인근은 야구팬들로 북적였다. 특히 배달 픽업존인 수성알파시티역 5번 출구 앞에는 20여 대의 오토바이가 길게 줄을 지어 서 있었다. 배달 기사들은 고객들에게 음식을 전달하기 위해 쉴 새 없이 라팍을 오가며 분주한 모습을 보였다.
이날 현장에서 만난 60대 배달기사는 "지난해부터 라팍에 경기가 있는 날이면 배달 건수가 몇 배는 더 증가한다"면서 "특히 지난해의 경우 삼성이 한국시리즈까지 진출해 체감이 더 컸다"고 말했다.
인근 가게들도 야구팬들의 덕을 톡톡히 보고 있다. 라팍과 가까운 시지광장, 원정 팬들이 반드시 거치는 동대구역 인근 상권, 동성로 일대 역시 홈경기마다 매출이 크게 늘고 있다.
일부 가게에서는 관중들을 위한 특별 메뉴를 개발하거나, 가격 혜택을 제공하는 등 마케팅에도 나서고 있다. 시지광장의 한 치킨집은 건물 외벽에 '삼성 라이온즈의 경기 중계가 있는 당일 유니폼을 착용한 고객에게 2천원 할인한다'는 문구를 내걸어 야구팬들의 이목을 끌었다.
시지광장의 한 가게 점원은 "야구 경기날이면 유니폼을 입고 가게 스크린으로 경기를 보러오는 손님들을 많다"며 "라팍과 시지광장이 대중교통으로 10분 남짓 걸리는 거리지만 야구팬들의 발걸음이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라팍은 전국에서도 높은 상권 매출 증가율을 기록했다. KB국민카드가 2022년부터 2025년까지 야구 경기가 열린 날의 전국 9개 야구장 주변 상권 결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매출액 증가율이 가장 높은 구장은 대전 한화생명볼파크(46%)였고 라팍(42%)이 2등을 차지했다. 주중과 주말을 가리지 않고 매출이 상승했다.
이예린(여·33·대구 수성구)씨는 "주로 경기장 근처에 있는 치킨집에서 닭강정을 사 먹거나 간단히 먹을 수 있는 핫도그, 떡볶이, 음료 등을 즐긴다"면서 "삼성의 성적이 좋으면 팬들이 더 많이 경기를 보러 가서 매출도 훨씬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임훈

정지윤
영남일보 정지윤 기자입니다.
이남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