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미술관에서 만난 사람] “대구는 한국 현대미술 확장의 전초기지”...한국 현대미술 거장 이강소, 고향 대구서 예술혼 되짚다

  • 임훈
  • |
  • 입력 2025-09-24 15:41  |  발행일 2025-09-24
대구는 어떻게 현대미술의 전초기지가 되었나
서울의 갈등을 넘어, 고향 대구서 꽃피운 예술
이강소 화백 예술적 뿌리 되짚는 의미있는 전시
지난 22일 대구미술관을 찾은 이강소 화백이 曲水之遊 곡수지유: 실험은 계속된다展 기자간담회에서 자신의 예술에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대구미술관 제공>

지난 22일 대구미술관을 찾은 이강소 화백이 '曲水之遊 곡수지유: 실험은 계속된다'展 기자간담회에서 자신의 예술에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대구미술관 제공>

"대구는 한국 현대미술 확장의 전초기지였어요."


한국 현대미술의 거장 이강소 화백이 지난 22일 대구미술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하며 반세기 넘는 예술 여정을 반추했다. 대구미술관은 대구 출신 작가 이강소의 대규모 회고전 '曲水之遊 곡수지유: 실험은 계속된다'(~2026년 2월22일)를 통해 끊임없이 변화와 확장을 거듭해온 그의 예술 세계를 조명하고 있다.


먼저 이 화백은 '나만의 화풍'을 찾기 위해 긴 여정을 보냈다며 과거를 떠올렸다. 이 화백은 "해방 후 한국미술계가 일본을 통해 들어온 서구미술의 영향으로 향토적 미학에 머물러 있었다"면서 "그러나 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 초, 서구의 급변하는 현대미술 흐름을 접하며 한국미술 역시 변화해야 한다는 절실함을 느꼈다"고 말했다.


그는 한때 서울 미술계의 복잡한 다툼에 실망해 고향인 대구로 돌아오는 결단을 내렸다. 하지만 이는 좌절이 아닌 새로운 시작이었다. 이 화백은 1974년 대구현대미술제 창설 및 핵심 구성원으로 참여한 바 있으며, 전국 각지로 현대미술이 확산하는 계기를 제공했다. 이 화백은 "대구의 동료들은 편안했고 갈등하지 않았다"며 "서로의 예술적 이상을 자유롭게 공유하고 현대미술에 대한 진지한 논의를 펼칠 수 있었다"고 했다.


당시 지역사회의 따뜻한 지원 역시 현대미술을 향한 실험에 큰 힘이 됐다. 대구백화점과 계명대 미술관이 전시 공간을 무상으로 제공하는 등 전례 없는 지역사회의 관심 덕분에 현대미술을 개선하려는 이들의 의지가 더욱 강해질 수 있었다는 것이 이 화백의 설명이다. 이 화백은 "1970년대 10여 년동안 한국미술계가 현대적 의식으로 급변한 것은 세계적으로도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일"이라며 대구가 한국 현대미술 확장의 숨겨진 전초기지였음을 역설했다.


대구미술관 전시실에서 1974년 대구현대미술제 기념 사진이 전시 중이다.<임훈기자 hoony@yeongnam.com>

대구미술관 전시실에서 1974년 대구현대미술제 기념 사진이 전시 중이다.<임훈기자 hoony@yeongnam.com>

이 화백은 그동안 관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예술의 가능성을 탐구해왔다고 했다. 자신의 작품은 서구의 '자기중심주의'와 근본적으로 다른 동아시아적 사유를 담고 있다는 부연설명도 덧붙였다. 이 화백은 "서구 미술이 자신의 감정을 타인에게 강요하는 것과 달리, 동양의 미술은 자연과 인간이 하나라는 사상에 기반을 두고 있다"면서 "작가의 의도를 강요하기보다는 자연스럽게 '그려지는 그림', '만들어지는 조각'을 추구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제 그림 속 연못 위 오리는 사실 오리도 아니고 연못도 없다. 각자가 보는 대로 결정되는 것이다. 저의 생각은 나의 어떤 감정을 억지로 주입하거나 강요하는 것이 아니다"는 말을 보탰다.


끝으로 이 화백은 자신에 대해 '그림을 수없이 망치는 작가'라고 소개했다. 의도치 않은 우연의 순간을 포착해 새로운 세계를 만나는 것이 자신의 즐거움 중 하나라는 것.


한편 대구미술관의 '곡수지유'展(전)은 회화와 조각, 판화, 드로잉 등 모든 매체를 아우르며 이 화백의 종합적 작품세계를 보여주고 있다. 고향 대구에서 이 화백의 예술적 뿌리를 되짚는 의미있는 전시라는 평가가 주류를 이룬다. 이강소 화백은 "(1970년대를)함께 했던 동료들 중 오늘 제가 전시회를 가지는 영광을 누리고 있다. 앞으로도 많은 격려를 부탁한다"고 말했다.



기자 이미지

임훈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문화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