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역 은행 점포 5년 7개월 새 23.6%↓…감소율 전국 ‘1위’

  • 최미애
  • |
  • 입력 2025-08-24 15:40  |  발행일 2025-08-24
2019년 말 292곳 → 2025년 7월 223곳
서울·부산 등 타특별·광역시보다 감소율 높아
은행 ATM.  연합뉴스

은행 ATM. 연합뉴스

코로나19 이후 은행 점포 수 감소 폭이 대구가 전국에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추경호 의원(국민의힘·대구 달성군)실이 은행연합회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대구의 국내은행 점포(출장소 제외) 수는 2019년 말 292곳에서 올해 7월 말 223곳으로, 5년 7개월 사이 23.6%나 줄어 전국에서 감소 규모가 가장 컸다.


은행 점포 수는 전국적으로 매년 감소해 같은 기간 5천654곳에서 4천572곳으로, 19.1% 감소했다. 대구 다음으로는 서울이 1천864곳에서 1천443곳이 줄어 감소 폭(22.6%)이 두 번째로 컸다. 경북·경남·대전·울산 등도 은행 점포 수 감소폭이 20%대를 나타냈다. 경북은 2019년 말 193곳에서 올해 7월 말 154곳으로, 20.2% 줄었다. 경남은 314곳에서 21.3% 감소한 247곳으로 집계됐다. 대전은 149곳에서 118곳이 감소해 20.8% 줄었다. 울산은 123곳에서 98곳으로 줄어 감소폭이 20.3%를 나타냈다. 부산·경기·전북·전남은 감소폭이 10%대였다.


은행 점포 수 감소는 비대면 거래가 활성화되면서 은행들이 운영 효율화 차원에서 오프라인 점포를 폐쇄 또는 통폐합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다만, 점포를 없애기만 하는 게 아니라 상대적으로 규모가 적고 기업 금융은 담당하지 않는 '출장소'로 전환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은행들은 고령층이나 지방 소비자 금융 접근성 보장을 위해 이동형 점포 출장 방문도 하고 있다. 하지만 올해 7월 말 기준 5대 은행의 이동형 점포 지방 출장 방문은 268회로, 수도권(348회)보다 적었다.


추경호 의원은 "해마다 은행 점포 수가 줄면서 금융 소외 계층의 접근성은 심각하게 저하되지만, 금융당국의 대응은 여전히 더디다"고 지적했다.



기자 이미지

최미애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