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1인당 GDP 대만에 역전… 체질개선 늦으면 더 추락할 판 등
올해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22년 만에 대만에 뒤처질 것이라는 우울한 전망이 나왔다. 세계 순위 역시 지난해보다 세 계단 하락할 거란 분석이다. 더욱이 5년 내 대만과의 격차가 더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 점은 우리 경제에 뼈아프다는 지적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의 최근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올 1인당 GDP는 지난해보다 0.8% 감소한 3만5천962달러에 그칠 전망이다. 순위는 197개국 중 지난해 34위에서 올해 37위로 내려앉을 것으로 보인다. 1인당 GDP는 2028년 4만달러를 넘어설 것이지만, 순위는 내년 38위, 2029년 41위로 계속 하락할 것이란 암울한 전망이다. 반면, 대만의 성장세는 무서울 지경이다. 1인당 GDP는 올해 3만7천827달러로 전년보다 11.1% 늘어나며, 순위도 35위로 뛴다. 게다가 내년 4만 달러, 2030년에는 5만 달러 시대를 열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와 비슷한 주력산업을 갖춘 대만의 비약적인 성장세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기업하기 좋은 환경'이 두 국가 경제의 명운을 가른 것으로 분석된다. 대만은 정부의 파격적인 규제완화와 세제지원 덕분에 체질 개선을 통해 AI혁명 대열에 합류한 것이다. 문제는 한국이 '0%대' 저성장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면 슬로베니아와 같은 유럽 중진국에도 뒤처질 것이란 점이다. 그런데도 여당과 정부는 규제강화에 속도를 내고 있으니 기업은 막막할 뿐이다. 이러다가 한국이 '아시아 4마리 용'에서 이무기로 추락할 상황이다. 이제 정부는 물론, 여당도 기업 옥죄기를 멈추고, 산업 구조개혁 지원에 힘쓸 때다. 이 게 국민을 잘살게 만드는 길이며, 가장 혁신적인 민생정책이다. [사설] 글로벌 기업인 총출동한 APEC, 경제효과 극대화하길 APEC 정상회의와 함께 세계인의 이목이 쏠리는 APEC CEO 서밋에 젠슨 황 엔비디아 CEO, 샘 올트먼 오픈AI CEO, 쩡위췬 CATL 회장 등 미국과 중국 주요 기업인이 참석한다. 이외에 제인 프레이저 씨티그룹 CEO, 호아킨 두아토 존슨앤존슨 CEO, 다니엘 핀토 JP모건 부회장, 도쿠나가 도시아키 히타치 CEO 등 금융·제조·에너지 분야 리더들도 한자리에 모인다. APEC 정상회의에 앞서 28일부터 열리는 CEO 서밋에는 APEC 회원국의 정상급 인사 16명과 글로벌 기업 CEO 등 1천700여 명이 모여 초격차 기술 경쟁, 공급망 재편 등과 관련해 논의한다. CEO 서밋은 대한상의 회장인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의장을 맡고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등 4대 그룹 총수도 참석한다. 이번 행사엔 한국과 해외 CEO 간 1대1 면담 자리도 마련돼 의례적 만남을 넘어 신규 투자, 제품 공급 등의 협의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국내 반도체 업계와의 HBM 공급, AI·메모리분야의 협력이 예상된다. 올트먼 오픈AI CEO와는 국내 AI 인프라 투자와 관련한 추가 논의가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 쩡위췬 CATL 회장은 배터리 공급을 협의하기 위해 현대자동차그룹과의 면담을 조율하고 있다. 대한상의에 따르면 APEC의 경제효과는 7조4천억 원, 고용 창출은 2만2천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반도체, 자동차, 배터리, 조선 등의 각 분야를 이끄는 국내 유력 기업인들이 대거 참석하는 만큼 비즈니스 효과를 극대화하길 바란다. 나아가 한국 기업들이 직면한 도전을 새로운 기회로 바꾸는 실질적 협력 플랫폼이 되길 기대한다. [사설] 모레 대구서 타운홀 미팅, 현안 꼼꼼히 알고 대통령 만나야 이재명 대통령이 모레 대구에서 '타운홀 미팅'을 연다. 어제 직접 페이스북에 참가자를 공개 모집하는 글을 올렸다. 광주·대전·부산·강원에 이어 다섯 번째다. 말은 풍성한데 되는 게 없는 대구의 산적한 현안을 대통령에게 직접 알리고 이를 정책에 반영할 좋은 기회다. '타운홀 미팅'은 17세기 미국의 한 작은 마을에서 시작됐다. 수백 년 전 마을과 오늘의 도시는 전혀 다르다. 그럼에도 그 취지를 살리고자 한다면 두 가지 전제가 필요하다. 하나는 미팅을 주관하는 대통령의 열린 마음, 또 하나는 자신의 삶과 도시 현안에 대해 미팅 참여 시민들의 깊은 이해와 성찰이다. 이게 없으면 타운홀 미팅은 쇼에 불과하고 시민은 들러리에 지나지 않는다. 시민의 이야기가 정책이 되고, 그 정책이 다시 시민의 삶을 바꾸는 선순환이 되도록 한다는 게 '미팅'의 취지다. 이 대통령이 밝힌 이날 미팅의 주제는 첨단기술융합 메디시티 실현, AI로봇 수도 대구, 미래 모빌리티 산업 선도도시 구축, 균형발전 혁신정책 등이다. 대구가 다시 도약할 현안들인 건 분명하다. 이게 다인가. 신공항 건설, 취수원 이전, TK통합특별법, 교통인프라 확충, 도심 군부대 이전 등 훨씬 중요한 현안들이 있다. 정치적으로 민감하다고 이러한 의제를 회피해선 안 된다. 논의가 겉돌지 않으려면 공모된 시민 200명의 역할이 중요하다. 사전에 대구 현안에 대한 풍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해 대구시가 챙길 게 없을까. 시 공무원이 수십 번 중앙부처를 드나드는 것보다 대통령에게 제대로 정리된 핵심 내용을 직접 알리는 효과가 훨씬 크다. 지자체장의 의견은 서면으로 받는다는 원칙이 있는 듯하다. 단체장이 부재중인 대구에서는 전문성 있는 공무원에게 짧게라도 발언의 기회를 주면 좋겠다. 논설실기자 ynnews@yeongna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