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프타임] 국회의원과 지방자치단체장의 관계, 그리고 선거 전략
대한민국 정치 구조는 중앙과 지방의 이원적 체계 위에 세워져 있다. 국회의원은 법과 제도를 다루며 국가 예산을 집행하는 정부와 연결되는 관문이고 시장과 군수는 주민 생활의 최전선에 서 있다. 권한과 역할은 다르지만, 목표는 같다. 그러나 현실은 다르다. 서로의 영역을 침범하거나 갈등하는 모습이 잦고, 그 피해는 결국 주민에게 돌아간다. 그래서 필요한 것이 '협력적 파트너십'이다. 긴장 속 견제는 필요하지만, 그것이 주민 중심 협력으로 귀결될 때 비로소 정치가 본연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우리 정치가 자주 빠지는 함정은 권력의 사유화다. 국회의원은 예산을 개인 치적으로 포장하고 시장·군수는 행정을 사유화하며 '내 시정·내 군정'을 주장하기 쉽다. 그러나 예산은 세금이고, 권한은 주민이 위임한 것이다. 국회의원은 예산을 특정인에게 과시하기보다 지역 전체를 위한 분배에 나서야 한다. 시장·군수 역시 권한을 독점하지 말고, 주민과 국회의원이 함께 공유하는 정책 공간을 만들어야 한다. 권한의 공유가 곧 협력의 전제조건이다. 국회의원은 중앙의 정책과 자원을 지역으로 연결하는 다리이고 동시에 지방의 목소리를 국가 의제로 올리는 상향식 정치의 통로다. 시장·군수는 현장에서 문제를 발견하고 주민의 요구를 구체화해 전달하는 파수꾼이다. 농촌의 인구 감소, 지방산업 쇠퇴 같은 문제는 단체장이 현실을 생생히 설명하고, 국회의원이 이를 법과 제도로 뒷받침할 때 해결의 길이 열린다. 둘은 경쟁자가 아니라 상호 보완적 협력자로 서야 한다. 총선은 정당 의석을 늘리기 위한 싸움이 아니다. 지역 유권자에게 중요한 것은 '이 국회의원이 당선되면 시장·군수와 어떤 협력을 보여줄 것인가'이다. 후보자는 협력의 청사진을 제시해야 한다. 단순히 국비 확보 실적을 강조하기보다, 그것이 어떻게 지역 전략사업과 연결되는지 설명해야 한다. '지역 특화 산업 육성'이나 '문화·관광 자원의 국가 프로젝트 연계'와 같은 구체적 약속은 주민을 설득한다. 총선 전략의 본질은 정당 충성이 아니라 지역 공동 비전이다. 지방선거는 생활 문제 해결이 본질이다. 그러나 주민은 단순한 행정 능력만 평가하지 않는다. 중앙과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도 본다. 따라서 시장·군수 후보는 누구와도 협력할 수 있는 유연성, 정당에 종속되지 않는 독립성을 동시에 갖춰야 한다. 특정 정치인과의 친분보다 주민을 대변해 중앙과 소통할 수 있다는 신뢰가 중요하다. 지방선거 전략의 핵심은 유권자가 후보를 '협력 가능한 인물'로 보는가에 달려 있다. 양쪽 모두 빠지기 쉬운 유혹은 권력 확대다. 의원은 중앙의 영향력을, 단체장은 지역 기반을 무기로 서로를 견제한다. 그러나 이 권력 다툼 속에서 주민의 삶은 뒤로 밀린다. 주민 중심의 정치는 '내 권력을 키우겠다'가 아니라 '주민의 이익을 극대화하겠다'는 목표 아래 이뤄져야 한다. 주민은 단순한 표가 아니라 정치의 주인이라는 점을 정치인 모두가 잊지 말아야 한다. 국회의원과 시장·군수의 관계는 결국 선거에서 결정된다. 유권자가 충돌을 용인하지 않고, 협력 가능한 인물을 선택할 때 정치 구조는 바뀐다. 총선에서는 중앙과 지방을 잇는 다리를 놓을 수 있는 인물을, 지방선거에서는 유연성과 독립성, 그리고 중앙 정부를 상대로 한 탁월한 영업력을 갖춘 후보를 뽑아야 한다. 총선과 지방선거 모두에서 유권자가 '협력 가능한 인물'을 선택하는 것이야말로 가장 강력한 전략이다. 경북본사 피재윤 피재윤기자 ssanaei@yeongna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