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시론] 이재명 대통령에 바란다
박진관 중부지역본부장“성공한 대통령이 되길 바란다.”2022년 3월10일 낙선한 이재명 대통령 후보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에게 한 말이다. 대한민국 21대 이재명 대통령 취임식이 열리는 오늘, 이를 다시 상기시키는 이유는 그가 윤석열처럼 '실패한 대통령'이 되지 않길 바라는 마음에서다. 대통령이 재직 중 헌법을 준수하지 않으면 온 국민이 고달파진다는 경험을 우리는 2천년대 들어 두 번씩이나 체득했다. 추운 겨울 차디찬 아스팔트에서 눈을 맞으며 밤을 새워야 했고, 마음을 졸이며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지켜봐야 했다. 공포와 분노, 우울과 좌절, 무력감과 불면을 겪으며 장장 6개월을 버텼다.윤 정권이 붕괴된 직접적 이유는 불법적 12·3 친위쿠데타였지만, 임기 내내 보여준 오만과 불통이 큰 몫을 차지했다. 그것을 야당 탓이라고 둘러댔지만, '정치력 부재'만 증명했을 뿐이었다. '3년은 너무 길다'고 한 조국의 말이 비수가 돼버렸을까. 윤석열은 공정과 상식, 자유를 강조하며 '마초다움'을 뽐냈지만, 그의 어퍼컷은 결국 자신의 턱을 향하고야 말았다. 그 결과 민생과 경제는 파탄 났고, 안보는 풍전등화가 됐다. 민주주의는 훼손됐고, 권위주의가 다시 등장했으며, 국격은 한없이 추락했다. 이 대통령이 윤 정권의 실패를 반면교사 삼아 성공한 대통령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몇 가지를 주문한다. 먼저 소통과 경청, 통합과 협치의 대통령이 돼 달라. 민주공화국의 주체인 국민과 늘 소통하고, 언론의 질책도 달게 수용할 줄 알아야 한다. 야당과의 대화를 꺼리지 말라. '대화가 곧 사랑' '미운 놈 떡 하나 더 준다'는 말이 있듯 나와 다름을 인정하고 상대를 존중해야 한다. 막히면 설득하고, 또 설득하되 안 되면 타협하고 양보하고 인내하라. 다만, 나라와 민족의 미래를 위해 옳고 바른 길이라면 주저하지 말라.둘째, 법 위에 군림하지 않고 국민을 섬기는 공의로운 대통령이 돼 달라.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는 헌법 제1조를 늘 되새겨야 한다. 민주적 절차에 따라 뽑힌 시민의 대표에게 총을 겨누고 민주주의를 겁박한 세력에겐 징벌적 처벌이 불가피하다. 헌법 정신과 그 질서를 파괴한 자들과 비호 세력을 엄중히 사법적으로 응징하되 보복은 하지 말라. 다시는 군이 정치에 개입하지 않도록 법과 제도를 재정비하라.셋째, 사실에 근거해 진리를 추구하는 실사구시(實事求是)의 대통령이 돼 달라. 스스로도 이념에 앞서 '먹사니즘'을 강조했다. 좌파도 우파도 아닌 '실력파'라고 한 이 대통령의 발언은 DJ의 '서생의 문제의식과 상인의 현실감각'과도 맥락이 닿아 있다. 나락으로 떨어진 경제와 민생을 회생시켜 다시 선진국 반열에 올려달라.넷째, 옛것을 바탕으로 새것을 창조하는 법고창신(法古創新)의 대통령이 돼 달라. 남북 간 화평일통은커녕 그의 말대로 언제 전쟁이 나도 이상하지 않을 만큼 위험에 노출된 나라가 돼 버렸다. 이는 편중외교 탓이다. 북·미 간 중재역할을 재개하고 '평화가 경제'라는 공약을 실천하길 바란다. 당장 미국과의 관세전쟁에도 승리하길 기대한다.다섯째, '혁명정신을 가진 변방의 아웃사이더' 출신으로서 지방 소멸과 저출생을 극복하고 분권과 자치 실현에 매진하는 대통령이 돼 달라. 이는 국가의 존망이 달린 문제다. 특히, 수도권 집중과 지방 소외를 혁파할 정책을 수립하고 펼쳐 문화강국, 복지 대한민국을 만들어 달라.박진관 중부지역본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