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4월15일 치러지는 21대 총선에서 눈여겨봐야 할 관전 포인트는 단체장 및 광역의원 출신 인사들의 도전이다. 이들은 각자 지역구에서 오랜 기간 행정 및 의정활동을 펼치며 쌓은 인지도를 바탕으로 일찌감치 출마 채비에 나서고 있어 공천 과정에서 현역 국회의원과 피할 수 없는 진검 승부를 예고하고 있다.
29일 대구경북(TK)지역 정치권에 따르면 대구 중구-남구지역에서 3명의 전직 구청장이 출마를 준비하거나 저울질하고 있다. 우선 남구에서 3선 구청장을 지낸 임병헌 전 남구청장이 강력한 도전 의지를 감추지 않고 있다. 지난 12년간 남구 행정을 이끌면서 쌓아온 인지도를 토대로 지금도 아침 산행을 이어가며 주민들과의 ‘스킨십’을 유지하고 있다. 또 자유한국당 공천을 받기 위해 책임당원 가입에도 적극적인 행보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前 구청장·시의회 부의장 출신
인지도 무기로 한국당 공천 행보
임대윤 前 구청장·이승천 위원장
동구갑 선거구 놓고 민주 경선 유력
경북서도 대부분 한국당 공천 기대
불발땐 민주·무소속 출마 가능성
중구에서 3선 구청장을 지낸 윤순영 전 중구청장도 출마를 채비하고 있다. 윤 전 구청장은 “보수통합과 제3신당 창당 등 큰 틀이 잡히면 유승민 의원과 뜻을 함께하겠다”며 “아직까지 정확히 어디 소속으로 출마한다고 확언하긴 어렵다”고 했다.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는 참여정부에서 환경부 장관을 지낸 이재용 전 남구청장도 내년 총선을 통해 국회 입성을 노리며 주민들과의 밀착을 강화하고 있다.
수성구갑 지역에서는 이진훈 전 수성구청장과 대구시의회 부의장 출신의 정순천 한국당 당협위원장이 공천을 기대하면서 1년 가까이 표밭을 다져오고 있다. 정 당협위원장은 ‘조국 사태’ 당시 TK지역 여성인사 중에선 처음으로 과감하게 ‘삭발 투쟁’에 동참하는 등 ‘여전사’ 이미지를 각인시키며 주민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기도 했다. 이 전 구청장은 자신의 유튜브 채널인 ‘이진훈 TV’ 토크콘서트를 여는 등 지역민과 소통하고 있다.
이 전 구청장과 정 당협위원장은 조국 사태의 여세를 몰아 ‘토종 인사’인 자신들이 여당 중진인 김부겸 의원을 꺾을 수 있다며 벼르고 있다.
강대식 전 동구청장과 임대윤 전 동구청장은 동구갑 선거구를 노리고 있다. 대표적인 유승민계로 분류되는 강 전 구청장은 유 의원이 수도권에 출마할 경우 동구을 지역구에 출사표를 던질 가능성도 있다. 지난해 지방선거에서 민주당 소속 대구시장 후보로 나섰던 임 전 구청장은 이번 총선에서 같은 당 이승천 지역위원장 등과 경선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
북구갑의 경우 구본항 전 대구시의회 의원이 바른미래당 소속으로 지역구를 누비고 있고, 달서구을 지역에서는 박상태 전 대구시의회 부의장이 출마를 저울질하고 있다.
경북지역에서도 전 기초단체장과 현 광역의원들의 총선 출마가 잇따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들 대부분 한국당 공천을 바라고 있지만, 민주당이나 무소속 출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국당 이완영 전 의원이 의원직을 상실한 뒤 ‘무주공산’이 된 고령-성주-칠곡 지역구는 군수 출신 인사들의 각축장이 된 모양새다. 한국당 당협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항곤 전 성주군수가 이미 지역구 관리에 열중하고 있는 가운데, 장세호 전 칠곡군수가 민주당 간판을 달고 총선에 나올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포항남구-울릉에서는 박승호 전 포항시장과 장경식 경북도의회 의장이 현역인 한국당 박명재 의원에게 도전장을 내밀 것으로 보인다. ‘바른정당계’인 박 전 시장은 한국당 복당이 최우선 과제이지만 쉽지 않아 보인다. 복당이 허용되지 않으면 무소속 출마도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보생 전 김천시장과 배영애 전 경북도의원은 각각 한국당과 민주당 소속으로 출마를 준비하고 있다.
남유진 전 구미시장은 구미갑과 을 지역구를 두고 고민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구미을에선 한국당 김봉교 경북도의회 부의장이 출마에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안동에서는 3선의 한국당 김명호 도의원이 총선 출마를 저울질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단체장과 광역의원 출신 인사들의 공통적인 강점이 해당 지역에서 잔뼈가 굵어 주민들에게 얼굴이 잘 알려져 있다는 것”이라며 “향후 공천 과정에서 ‘인적 쇄신론’이 대두되면서 현역 의원 교체바람이 불 경우 강력한 다크호스로 떠오를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민경석기자 mean@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