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의 연속성 때문일까. 이번 대구시의 대선 지역 공약에는 윤석열 정부와 민선 8기 대구시의 공약 관련 사업도 적잖게 포함됐다. 이에 대구시가 확정한 지역 공약 23개 중 실제 얼마나 대선 공약으로 반영될지와 공약의 실현 가능성 등에 관심이 모아진다.
우선, 대구 취수원의 안동댐 이전은 각 정당 대선 후보 모두에 대선 공약으로 채택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대구시는 '맑고 안전한 물 공급을 위한 대구 취수원 안동댐 이전'을 공약에 포함시켰다. 하지만, 시는 더불어민주당 정권 시절 구미 해평취수장으로 취수원을 이전키로 하고, 정부의 협조 속에 관련 정책을 추진해왔다. 그러나 민선 8기 들어 대구시장과 구미시장이 모두 바뀌면서 대구 취수원 이전 정책은 변화를 맞았다.
대구시는 현재 안동댐으로 취수원을 옮기는 '맑은물 하이웨이' 사업을 적극 추진 중이다. 이에 대구 취수원 정책을 공약화하는 과정에서 대구시가 정치권을 설득하고 조율하는 일이 숙제로 남아 있다.
국가 AI컴퓨팅센터 구축 등 타 지자체에서도 대선 공약으로 내세운 사업들이 대구 공약으로 채택될지 여부도 지켜봐야 한다.국가 AI컴퓨팅센터 구축은 대구뿐 아니라 광주도 대선 공약에 포함시킨 상태다. 대구 미군부대 이전 국가주도 추진사업의 경우, 대선 공약에 반영돼도 국제 정세 등 여러 변수 탓에 사업 에 속도를 내기가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지역의 한 관가 관계자는 "대선을 겨냥해 전국 각 지자체가 저마다 대형 현안 사업을 공약에 포함하고 있다. 지자체 입장에선 '행정'만으론 힘이 약하니 정치적 동력을 바랄 수 밖에 없다"며 "한정된 재원으로 경쟁을 해야 하니, 각 지자체가 발굴한 공약이 다 채택되거나 실현되긴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고 했다.
대구시 측은 "취수원 안동댐 이전 등은 그간 상황 변화와 구미의 입장을 반영해야 한다. 또한 해당 정책에는 안동이 찬성한 상태다"라며 "현재로선 안동댐 이전 외엔 다른 대안이 없고, 취수원 안동댐 이전을 번복할 수 없다는 점을 각 정당에 어필하겠다"고 했다. 노진실기자
우선, 대구 취수원의 안동댐 이전은 각 정당 대선 후보 모두에 대선 공약으로 채택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대구시는 '맑고 안전한 물 공급을 위한 대구 취수원 안동댐 이전'을 공약에 포함시켰다. 하지만, 시는 더불어민주당 정권 시절 구미 해평취수장으로 취수원을 이전키로 하고, 정부의 협조 속에 관련 정책을 추진해왔다. 그러나 민선 8기 들어 대구시장과 구미시장이 모두 바뀌면서 대구 취수원 이전 정책은 변화를 맞았다.
대구시는 현재 안동댐으로 취수원을 옮기는 '맑은물 하이웨이' 사업을 적극 추진 중이다. 이에 대구 취수원 정책을 공약화하는 과정에서 대구시가 정치권을 설득하고 조율하는 일이 숙제로 남아 있다.
국가 AI컴퓨팅센터 구축 등 타 지자체에서도 대선 공약으로 내세운 사업들이 대구 공약으로 채택될지 여부도 지켜봐야 한다.국가 AI컴퓨팅센터 구축은 대구뿐 아니라 광주도 대선 공약에 포함시킨 상태다. 대구 미군부대 이전 국가주도 추진사업의 경우, 대선 공약에 반영돼도 국제 정세 등 여러 변수 탓에 사업 에 속도를 내기가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지역의 한 관가 관계자는 "대선을 겨냥해 전국 각 지자체가 저마다 대형 현안 사업을 공약에 포함하고 있다. 지자체 입장에선 '행정'만으론 힘이 약하니 정치적 동력을 바랄 수 밖에 없다"며 "한정된 재원으로 경쟁을 해야 하니, 각 지자체가 발굴한 공약이 다 채택되거나 실현되긴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고 했다.
대구시 측은 "취수원 안동댐 이전 등은 그간 상황 변화와 구미의 입장을 반영해야 한다. 또한 해당 정책에는 안동이 찬성한 상태다"라며 "현재로선 안동댐 이전 외엔 다른 대안이 없고, 취수원 안동댐 이전을 번복할 수 없다는 점을 각 정당에 어필하겠다"고 했다. 노진실기자

노진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