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구치소에서 석방된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달 8일 서울 한남동 관저 앞에 도착, 차량에서 내려 지지자들을 향해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여권은 1일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선고 지정 이후 '기각 또는 각하'를 기대하는 모양새다. 특히 헌재 앞 기자회견 등 전면전을 펼치는 야당과 달리 정부·여당은 상대적으로 차분한 입장을 내비쳐 눈길을 끈다.
일단 국민의힘 측은 선고일 지정에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의힘은 그동안 헌재에 선고기일 날짜를 조속히 잡아달라고 요청했다. 다행으로 생각하고 환영한다"며 “법리와 양심에 따라 공정한 판결이 내려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이어 “특정 결론을 유도하고 강요하는 민주당의 공세에 헌재는 흔들리면 안 된다. 국민의힘은 헌재의 판결에 승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도 이날 “최근 야당이 반헌법적인 여러 법률을 준비하고 반헌법적인 탄핵소추를 준비한다고 해서 많이 걱정했다"며 “헌재가 이제라도 기일을 잡아 헌법적 불안정 상태를 해소할 수 있게 돼 다행이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헌법재판관 한분 한분이 국익을 고려하고 중립적이고 공정하게 결정을 내려주길 기대한다"고 당부했다.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가 1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당내에서는 탄핵 기각 또는 각하로 윤 대통령의 복귀를 기대하는 모양새다. 국민의힘 윤상현 의원은 “당연히 기각될 것으로 생각한다. 절차적 흠결은 결과의 정당성을 담보할 수 없다"라며 “불공정, 불법, 위법이 너무 많은 윤 대통령 탄핵 심판 과정이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내란죄로 인한 파면을 입증하지 못한다"고 단언했다.
특히 당내에서는 헌재의 선고가 당초 전망보다 늦어진 것이 탄핵 인용을 위한 헌법재판관 정족수(6명)를 채우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이에 국민의힘 의원들은 페이스북에 “4월4일은 4(인용)대 4(기각)로"(박대출), “4대 4 기각 혹은 각하를 예상"(강승규) 등으로 직접 언급하기도 했다.
대통령실은 헌재 판결을 차분히 기다린다는 입장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에게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일 지정과 관련해 기존 입장과 마찬가지로 차분하게 헌재의 결정을 기다릴 것"이라고 전했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